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138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138 [2025/05/21 12:58] ssio2c-138 [2025/06/27 10:21] (현재) ssio2
줄 4: 줄 4:
 \_特秀齋黃永國行狀畧\\ \_特秀齋黃永國行狀畧\\
 公姓黃諱永國字叔佐號家庭所命蕙史丈席所命特秀齋系出平海也黃氏自羅 公姓黃諱永國字叔佐號家庭所命蕙史丈席所命特秀齋系出平海也黃氏自羅
-代上世爲望族於東邦冠冕奕世麗忠壯朝有諱<fc:red>墉</fc>官崇祿大夫三重大匡輔國諡+代上世爲望族於東邦冠冕奕世麗忠壯朝有諱𤨭官崇祿大夫三重大匡輔國諡
 忠敬我\_朝有諱希碩開國元勳封平海君諡襄武於公十九代祖也十八代祖諱 忠敬我\_朝有諱希碩開國元勳封平海君諡襄武於公十九代祖也十八代祖諱
-麟禮曹判書十七代祖諱致祖工曹議十六代祖諱吉源繕工監正十五代祖諱 +麟禮曹判書十七代祖諱致祖工曹議十六代祖諱吉源繕工監正十五代祖諱 
-坤禮曹議祖諱基彦祖妣善山金氏進士昌洙之女葬夫節死轉達\_天階命旌+坤禮曹議祖諱基彦祖妣善山金氏進士昌洙之女葬夫節死轉達\_天階命旌
 閭考諱敎鎭通仕郞繕工監假監役妣南陽洪氏寬燮之女\_高廟乙丑四月二十 閭考諱敎鎭通仕郞繕工監假監役妣南陽洪氏寬燮之女\_高廟乙丑四月二十
 五日酉時生于西上盤松舊第資品端肅志操高潔生之八朔而能跂嶷十朔而能 五日酉時生于西上盤松舊第資品端肅志操高潔生之八朔而能跂嶷十朔而能
줄 13: 줄 13:
 性五六歲學于考聰慧穎悟暫不離側而遂與舍兄又同門之人相遊其在同類之 性五六歲學于考聰慧穎悟暫不離側而遂與舍兄又同門之人相遊其在同類之
 際相無爾汝之失其在同學之徒又無爭鬪之亂如是有知覺而勤篤工夫考奇之 際相無爾汝之失其在同學之徒又無爭鬪之亂如是有知覺而勤篤工夫考奇之
-宗族里稱之自少至長酒肆在於一里而不甞入焉市場在於十里而不甞觀焉 +宗族里稱之自少至長酒肆在於一里而不甞入焉市場在於十里而不甞觀焉 
-由是在於里不斷讚揚稱譽之聲在於家庭不披楚撻傷心之怒焉其於事親之+由是在於里不斷讚揚稱譽之聲在於家庭不披楚撻傷心之怒焉其於事親之
 節則晨昏無怠養志養軆克誠克孝其於居喪則六年居廬不脫經帶言而不語對 節則晨昏無怠養志養軆克誠克孝其於居喪則六年居廬不脫經帶言而不語對
 而不問其於忌祭則三日致齊思其居處笑語志意所樂所嗜其於家廟晨謁則年 而不問其於忌祭則三日致齊思其居處笑語志意所樂所嗜其於家廟晨謁則年
줄 21: 줄 21:
 供則必以升米給之人若遭喪葬而窮不能自足則必以斗米賻之在於冠婚喪祭 供則必以升米給之人若遭喪葬而窮不能自足則必以斗米賻之在於冠婚喪祭
 則多從先世之傳禮而或有修正焉其於學業則早受家庭工令之學而承孝陵叅 則多從先世之傳禮而或有修正焉其於學業則早受家庭工令之學而承孝陵叅
-奉之筮仕與世相違始覺悟幡然有志於師門性理之學乙巳春徃于南面柯亭+奉之筮仕與世相違始覺悟幡然有志於師門性理之學乙巳春徃于南面柯亭
 里見柳先生諱麟錫號毅菴而始請受業公年四十一歲於丈席拜謁多年而晩時 里見柳先生諱麟錫號毅菴而始請受業公年四十一歲於丈席拜謁多年而晩時
-請業自嘆其悟也其後丈席乎書箴誠之文而與之又命號以特秀齋曰汝居盤+請業自嘆其悟也其後丈席乎書箴誠之文而與之又命號以特秀齋曰汝居盤
 松則汝之志節如松之特秀焉因而源源進拜問辨焉未幾年先生渡海未能追從 松則汝之志節如松之特秀焉因而源源進拜問辨焉未幾年先生渡海未能追從
-獨居山房膝跪坐而唯以六經之文文宋之書華重省毅四先生之文爲從事焉+獨居山房膝跪坐而唯以六經之文文宋之書華重省毅四先生之文爲從事焉
 素有誠一之性又兼百忍之心繼家聲而盡孝友之道撫宗族而有敦厚之誼儀容 素有誠一之性又兼百忍之心繼家聲而盡孝友之道撫宗族而有敦厚之誼儀容
 有度嚴而且和敎誨有術詳而不煩不獨垂誠於家庭亦多勉進其後學乙酉八月 有度嚴而且和敎誨有術詳而不煩不獨垂誠於家庭亦多勉進其後學乙酉八月
줄 44: 줄 44:
 명한 바 특수재(特秀齋)라. 선계의 본관은 평해라. 황씨(黃氏)는 신라 때로부터  명한 바 특수재(特秀齋)라. 선계의 본관은 평해라. 황씨(黃氏)는 신라 때로부터 
 동방에 들어난 사족으로서 누누세세 존망을 받아왔으며 고려 충렬조에  동방에 들어난 사족으로서 누누세세 존망을 받아왔으며 고려 충렬조에 
-휘 용(<fc:red>墉</fc>) 어른은 관이 삼중대광보국 시호가 충경(忠敬)이니 +휘 용(𤨭) 어른은 관이 삼중대광보국 시호가 충경(忠敬)이니 
 일인지하 만민지상이라, 이조 초에 휘 희석(希碩) 어른은 개국원훈으로  일인지하 만민지상이라, 이조 초에 휘 희석(希碩) 어른은 개국원훈으로 
 봉 평해군하야 시호가 양무(襄武)오 즉 공의 19대조니라.  봉 평해군하야 시호가 양무(襄武)오 즉 공의 19대조니라. 
줄 87: 줄 87:
 육경지문(六經之文)((육경(六經): 시경, 상서, 의례, 악경, 역경, 춘추)),  육경지문(六經之文)((육경(六經): 시경, 상서, 의례, 악경, 역경, 춘추)), 
 송문지서(宋文之書) 즉 송나라의 글과,  송문지서(宋文之書) 즉 송나라의 글과, 
-화·중·성·의(華重省毅)((조선시대 후기 화서학파의 화서 이항로(華西 李恒老),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默), 성재 류중교(省齋 柳重敎), 의암 유인석(毅庵 柳麟錫))) 4선생의 글로 종사함이라. 본성을 곧게 하나로 참고 또 참는 마음을 정성을 다하여야 +화·중·성·의(華重省毅)((조선시대 후기 화서학파의 화서 이항로(華西 李恒老),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默), 성재 류중교(省齋 柳重敎), 의암 유인석(毅庵 柳麟錫) )) 4선생의 글로 종사함이라. 본성을 곧게 하나로 참고 또 참는 마음을 정성을 다하여야 
 할 것이며, 선세를 이어 효우지도를 다할 것이며, 종족 간에는 돈목과 후의로 편안함이 있어야 하며, 거동에 있어는 용모와 행신에 예도를 지켜야 하며, 엄함에 있어서는 화목과 훈교로서 자세한 기술을 가르침이 있어야 함이라, 가정이 번거롭지 않으며 외롭지도 아니함에, 드디어 훈계로서 역시 많은 후학을 진출시켰다.\\ 할 것이며, 선세를 이어 효우지도를 다할 것이며, 종족 간에는 돈목과 후의로 편안함이 있어야 하며, 거동에 있어는 용모와 행신에 예도를 지켜야 하며, 엄함에 있어서는 화목과 훈교로서 자세한 기술을 가르침이 있어야 함이라, 가정이 번거롭지 않으며 외롭지도 아니함에, 드디어 훈계로서 역시 많은 후학을 진출시켰다.\\
 \_을유(乙酉) 8월 1일 인시(寅時)에 천명을 마치니 향년이 81이요,  \_을유(乙酉) 8월 1일 인시(寅時)에 천명을 마치니 향년이 81이요, 
c-138.174779991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1 12:58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