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01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3-012 [2025/05/13 10:32] – ssio2 | c3-012 [2025/05/26 10:28] (현재) – ssio2 | ||
---|---|---|---|
줄 39: | 줄 39: | ||
분명(分明)해졌으니 후세(後世) 자손(子孫)들의 유감이 없게 되었다. 이야말로 종중(宗中)의 다행(多幸)이 아닐 수 없다.\\ | 분명(分明)해졌으니 후세(後世) 자손(子孫)들의 유감이 없게 되었다. 이야말로 종중(宗中)의 다행(多幸)이 아닐 수 없다.\\ | ||
- | \_기타(其他) 부록(附錄)에 있는 제파(諸派)는 장적(帳籍)에 근거(根據)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왕(既往)의 구보(舊譜)에 빠진 것을 구태여 | + | \_기타(其他) 부록(附錄)에 있는 제파(諸派)는 장적(帳籍)에 근거(根據)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왕(旣往)의 구보(舊譜)에 빠진 것을 구태여 |
금번(今番)에 편입(編入)할 수 없기로 이는 | 금번(今番)에 편입(編入)할 수 없기로 이는 | ||
후일(後日)을 기다릴 수 밖에 없다.\\ | 후일(後日)을 기다릴 수 밖에 없다.\\ | ||
줄 45: | 줄 45: | ||
\_보사(譜事)가 다 이루어짐에 제종(諸宗)들이 윤구(潤九)가 금계공(錦溪公)의 종손(宗孫)이며 또 보사(譜事)에 참여(參輿)하여 시종(始終)을 | \_보사(譜事)가 다 이루어짐에 제종(諸宗)들이 윤구(潤九)가 금계공(錦溪公)의 종손(宗孫)이며 또 보사(譜事)에 참여(參輿)하여 시종(始終)을 | ||
들은 바 있으리라 하여 몇줄의 서문(序文)을 쓰라하니, | 들은 바 있으리라 하여 몇줄의 서문(序文)을 쓰라하니, | ||
- | 사퇴(辭退)할 수 없어 이 글을 쓰는 것이다. 오호(嗚呼)라 우리 황씨(黃氏)의 유서(由緒)가 오랜 역사(歷史)를 가진 | + | 사퇴(辭退)할 수 없어 이 글을 쓰는 것이다. 오호(嗚呼)라 우리 황씨(黃氏)의 유서(由緖)가 오랜 역사(歷史)를 가진 |
종족(宗族)으로서 보책(譜冊) 중에 실려있는 선조(先祖)들 중에는 많은 분들이 훈업(勳業)과 공덕(功德)이 뛰어나 | 종족(宗族)으로서 보책(譜冊) 중에 실려있는 선조(先祖)들 중에는 많은 분들이 훈업(勳業)과 공덕(功德)이 뛰어나 | ||
세인(世人)의 칭송(稱頌)이 자자하니 종족(宗族) | 세인(世人)의 칭송(稱頌)이 자자하니 종족(宗族) |
c3-012.174709992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3 10:32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