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2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021 [2025/05/15 07:33] ssio2c3-021 [2025/05/18 18:04] (현재) 121.166.63.129
줄 31: 줄 31:
  
 \_다음에 내 집 일을 말하고자 하노라. 나의 본 생조(生祖)이신  \_다음에 내 집 일을 말하고자 하노라. 나의 본 생조(生祖)이신 
-금간(錦澗)((금간(錦澗) 황수량(黃秀良):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의 동생.)) 할아버지께서는 불행(不幸)하게+금간(錦澗)((금간(錦澗) 황수량(黃秀良):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의 동생.))할아버지께서는 불행(不幸)하게
 손자(孫子) 대(代)에서 종사(宗嗣)가 끊겨 지금까지 춘추향사(春秋享祀)를 받드는 자가 혈족(血族) 아닌 손자(孫子) 대(代)에서 종사(宗嗣)가 끊겨 지금까지 춘추향사(春秋享祀)를 받드는 자가 혈족(血族) 아닌
-사람은 없어서 가승(家乘)과 보첩(譜牒)에 올라있는 자가 모두 방계(傍孫)의 항열에 있어서 +사람은 없어서 가승(家乘)과 보첩(譜牒)에 올라있는 자가 모두 방계(傍孫)의 항열에 있어서, 
-본가(本家)에서 누대(累代)로 유감으로 여겨오던 중 문경(聞慶) 일가 집에 소목(昭睦)이 미치는 +본가(本家)에서 누대(累代)로 유감으로 여겨오던 중문경(聞慶) 일가 집에 소목(昭睦)이 미치는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고 그의 9세(九世) 이하(以下)를 옮겨서 종손(宗孫)으로 삼았으니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고 그의 9세(九世) 이하(以下)를 옮겨서 종손(宗孫)으로 삼았으니, 
-이번 보사를 닦은 의의(意義)가 진실로 여기에 있다 하겠으며 더욱이  +이번 보사를 닦은 의의(意義)가 진실로 여기에 있다 하겠으며더욱이  
-예천(醴泉) 상주(尙州) 함창(咸昌) 경산(慶山) 등지(等地)에 산거(散居)하는 종족(宗族)이 많고 가승(家乘)과 문적(文籍)의+예천(醴泉) 상주(尙州) 함창(咸昌) 경산(慶山) 등지(等地)에 산거(散居)하는 종족(宗族)이 많고,  
 +가승(家乘)과 문적(文籍)의
 고증(考證)과 기록(記錄)의 내력(來歷)이 분명(分明)하여 전자(前者)에 혹 붙었거나 혹 누락된  고증(考證)과 기록(記錄)의 내력(來歷)이 분명(分明)하여 전자(前者)에 혹 붙었거나 혹 누락된 
 줄거리가 있으며 또 구보(舊譜) 서문(序文)에 후일을 기다려서 처리(處理)한다는 말이 줄거리가 있으며 또 구보(舊譜) 서문(序文)에 후일을 기다려서 처리(處理)한다는 말이
-있는 사람은 곧 합단(合單)하고 붙여서 보계(譜系)를 막았으니 이는 곧 +있는 사람은 곧 합단(合單)하고 붙여서 보계(譜系)를 막았으니이는 곧 
 범문정공(范文正公)((범중엄(范仲淹): 중국(中國) 북송(北宋) 때의 정치가(政治家)ㆍ학자(學者)(989~1052). 자(字)는 희문(希文). 인종(仁宗) 때에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어 개혁(改革)하여야 할 정치상(政治上)의 10개 조를 상소(上疏)하였으나 반대파(反對派) 때문에 실패(失敗)하였다. 작품(作品)에 <악양루기(岳陽樓記)>, 문집(文集) ≪범문정공집(范文正公集)≫이 있다.))의 범문정공(范文正公)((범중엄(范仲淹): 중국(中國) 북송(北宋) 때의 정치가(政治家)ㆍ학자(學者)(989~1052). 자(字)는 희문(希文). 인종(仁宗) 때에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어 개혁(改革)하여야 할 정치상(政治上)의 10개 조를 상소(上疏)하였으나 반대파(反對派) 때문에 실패(失敗)하였다. 작품(作品)에 <악양루기(岳陽樓記)>, 문집(文集) ≪범문정공집(范文正公集)≫이 있다.))의
 말한 바와 같이 내게서 보면 친소(親疏)의 차별(差別)이 있으나 조상(祖上)이 볼 때는 말한 바와 같이 내게서 보면 친소(親疏)의 차별(差別)이 있으나 조상(祖上)이 볼 때는
 같은 자손(子孫)이라 어찌 같은 자손(子孫)이라 어찌
-또 주저하겠는가? 그러나 10세(十世) 동안을 결정(決定)치 못하고 백년간(百年間)을 신중(重)히 +또 주저하겠는가? 그러나 10세(十世) 동안을 결정(決定)치 못하고 백년간(百年間)을 신중(重)히 
 다루던 일을 감(敢)히 경솔(輕率)하게 보첩(譜牒)에 편입(編入)한 것은 다루던 일을 감(敢)히 경솔(輕率)하게 보첩(譜牒)에 편입(編入)한 것은
 후일(後日) 지하(地下)에서 조상(祖上)에 대(對)하여 할 말은 있다하더라도 참람하다는 후일(後日) 지하(地下)에서 조상(祖上)에 대(對)하여 할 말은 있다하더라도 참람하다는
줄 53: 줄 54:
 없으리요마는 친(親)함을 미루어 소원(疎遠)함에 비치는 것이 윤강(倫綱)을 두텁게  없으리요마는 친(親)함을 미루어 소원(疎遠)함에 비치는 것이 윤강(倫綱)을 두텁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니, 우리 종인(宗人)들은 마땅히 조심하고 하는 일이 될 것이니, 우리 종인(宗人)들은 마땅히 조심하고
-힘써서 선세(先世)의 남긴 은덕(隱德)이 있음을 생각하고 후세(後世) 자손(子孫)에게 조상(祖上)을 +힘써서 선세(先世)의 남긴 은덕(隱德)이 있음을 생각하고후세(後世) 자손(子孫)에게 조상(祖上)을 
-욕되게 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도모하면 나무가지가 번성(繁盛)하여+욕되게 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도모하면나무 가지가 번성(繁盛)하여
 문호(門戶)가 더욱 융성(隆盛)할 날을 가(可)히 약속(約束)할지니라.  문호(門戶)가 더욱 융성(隆盛)할 날을 가(可)히 약속(約束)할지니라. 
-대략(大略) 보사(譜事)가 이루어진 전말(末)을 서술(敍述)하여 책(冊)머리에 쓰노니, 후일(後日)에 다시+대략(大略) 보사(譜事)가 이루어진 전말(末)을 서술(敍述)하여 책(冊)머리에 쓰노니, 후일(後日)에 다시
 보첩(譜牒)을 닦는 이가 있으면 내 말에 느낌이 있으리라.\\ 보첩(譜牒)을 닦는 이가 있으면 내 말에 느낌이 있으리라.\\
-\_\_세(歲) 현묵(玄黓) 엄무(閹茂)(=壬戌) 중려월(仲呂月)(=4월) 상한(上澣) 후예손(後裔孫) 영래(永來) 근서(謹書)+\_\_세(歲) 현묵(玄黓) 엄무(閹茂)(=임술(壬戌)) 중려월(仲呂月)(=4월) 상한(上澣) 후예손(後裔孫) 영래(永來) 근서(謹書)
 </typo> </typo>
 </WRAP> </WRAP>
c3-021.174726203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5 07:33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