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4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c3-041 [2025/05/22 13:37] ssio2c3-041 [2025/05/31 19:11] (현재) ssio2
줄 80: 줄 80:
 \_명장(明將) 조승훈(祖承訓)((조승훈(祖承訓): 중국 명나라의 무장이며 임진왜란 때 조선으로 파견된 장수. 생몰년 미상이지만 아들 조대수가 1579년생이므로, 임진왜란 때는 40대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이 안주(安州)에서 패전(敗戰)하고 \_명장(明將) 조승훈(祖承訓)((조승훈(祖承訓): 중국 명나라의 무장이며 임진왜란 때 조선으로 파견된 장수. 생몰년 미상이지만 아들 조대수가 1579년생이므로, 임진왜란 때는 40대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이 안주(安州)에서 패전(敗戰)하고
 돌아갈 제, 공(公)이 선생(先生)의 명(命)을 받들어 돌아갈 제, 공(公)이 선생(先生)의 명(命)을 받들어
-술과 음식(食)으로 크게 위로연(慰勞宴)을 베풀어 주고+술과 음식(食)으로 크게 위로연(慰勞宴)을 베풀어 주고
 자진퇴병(自進退兵)하기를 권(勸)하니 승훈(承訓)이 스스로 자진퇴병(自進退兵)하기를 권(勸)하니 승훈(承訓)이 스스로
 패전(敗戰)한 것을 부끄럽게 생각(生覺)하여 요동(遼東)으로 패전(敗戰)한 것을 부끄럽게 생각(生覺)하여 요동(遼東)으로
c3-041.174788863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2 13:3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