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4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043 [2025/05/22 13:37] ssio2c3-043 [2025/05/27 20:58] (현재) ssio2
줄 10: 줄 10:
 시(諡) 양무(襄武)라. 이 어른이 휘(諱) 상(象) 평조판서(兵曹判書)를 시(諡) 양무(襄武)라. 이 어른이 휘(諱) 상(象) 평조판서(兵曹判書)를
 낳아 소도지란(昭悼之亂)으로 문천(文川)에 적거(謫居)하다 낳아 소도지란(昭悼之亂)으로 문천(文川)에 적거(謫居)하다
-병사(病死)하고, 참의(議) 휘(諱) 계조(繼祖)에 이르러 한양(漢陽)으로+병사(病死)하고, 참의(議) 휘(諱) 계조(繼祖)에 이르러 한양(漢陽)으로
 방면(放免) 귀환(歸還)하여 이현(梨峴)에 살더니,  방면(放免) 귀환(歸還)하여 이현(梨峴)에 살더니, 
-자(子) 휘(諱) 자중(自中)이 관(官) 참의(議)로 휘(諱) 전(詮)을+자(子) 휘(諱) 자중(自中)이 관(官) 참의(議)로 휘(諱) 전(詮)을
 생(生)하니 이 분이 공(公)의 5대조(五代祖)라. 고조(高祖)의 휘(諱) 생(生)하니 이 분이 공(公)의 5대조(五代祖)라. 고조(高祖)의 휘(諱)
-세통(世通)이니 형조참의(刑曹議)로 이현(梨峴)에 세거(世居)하고, +세통(世通)이니 형조참의(刑曹議)로 이현(梨峴)에 세거(世居)하고, 
-문전(門前)에 석교(石橋)가 있는 바 참의공(議公)이 가교(架橋)한+문전(門前)에 석교(石橋)가 있는 바 참의공(議公)이 가교(架橋)한
 고(故)로 고(故)로
-지금(至今)도 세칭(世稱) 황참의교(黃議橋)라 한다. \\+지금(至今)도 세칭(世稱) 황참의교(黃議橋)라 한다. \\
  
 \_증조(曾祖)의 \_증조(曾祖)의
-휘(諱) 창(琩)은 사과(司果)니 백공(伯公) 참의공(議公) 서(瑞)로+휘(諱) 창(琩)은 사과(司果)니 백공(伯公) 참의공(議公) 서(瑞)로
 더불어 청안(淸安)에 우거(寓居)하다. 청안(淸安)은 조비(祖妣) 더불어 청안(淸安)에 우거(寓居)하다. 청안(淸安)은 조비(祖妣)
 유씨(柳氏)의 고향(故鄕)이라. 그래서 군방동(群芳洞)에 거지(居地)를 유씨(柳氏)의 고향(故鄕)이라. 그래서 군방동(群芳洞)에 거지(居地)를
줄 26: 줄 26:
 여기서 은덕불사(隱德不仕)하니 당세(當世) 고위고관(高位高官)들의 여기서 은덕불사(隱德不仕)하니 당세(當世) 고위고관(高位高官)들의
 많은 송시(頌詩)가 현판(懸板)에 게시(揭示)되었더라. 많은 송시(頌詩)가 현판(懸板)에 게시(揭示)되었더라.
-조(祖) 경신(敬身)은 중추부사(中樞府事)니 충북(忠北) 청천(川) +조(祖) 경신(敬身)은 중추부사(中樞府事)니 충북(忠北) 청천(川) 
 무릉동(武陵洞)에 이거(移居)하여 강변(江邊)에 정자(亭子)를 무릉동(武陵洞)에 이거(移居)하여 강변(江邊)에 정자(亭子)를
 짓고 호(號)를 침류정(枕流亭)이라 하였다. 이도 또한 벼슬에 짓고 호(號)를 침류정(枕流亭)이라 하였다. 이도 또한 벼슬에
줄 36: 줄 36:
 손녀(孫女)요. 고(考)의 휘(諱)는 일(逸)이니 통덕랑(通德郞)이요, 손녀(孫女)요. 고(考)의 휘(諱)는 일(逸)이니 통덕랑(通德郞)이요,
 배(配)는 병조좌랑(兵曹佐郞) 조휴(趙烋)의 여(女)이니 배(配)는 병조좌랑(兵曹佐郞) 조휴(趙烋)의 여(女)이니
-공(公)은 그의 4남(四男)으로, 계부(季父) 증(贈) 참의(議)+공(公)은 그의 4남(四男)으로, 계부(季父) 증(贈) 참의(議)
 휘(諱) 연([日延])에 출계(出系)하고, 연([日延])도 또한 계부(季父)인  휘(諱) 연([日延])에 출계(出系)하고, 연([日延])도 또한 계부(季父)인 
 진사(進士) 휘(諱) 수신(守身)에 출계(出系)하였으며, 진사(進士) 휘(諱) 수신(守身)에 출계(出系)하였으며,
 배(配)는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노색(盧穡)의 여(女)요 배(配)는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노색(盧穡)의 여(女)요
-판서(判書) 직(稙)의 질녀(姪女)라. 참의공(議公)의 배(配)는+판서(判書) 직(稙)의 질녀(姪女)라. 참의공(議公)의 배(配)는
 선전관(宣傳官) 윤순(尹淳)의 여(女)요 판서(判書) 한준(韓準)의 선전관(宣傳官) 윤순(尹淳)의 여(女)요 판서(判書) 한준(韓準)의
 외손녀(外孫女)라. \\ 외손녀(外孫女)라. \\
c3-043.174788865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2 13:3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