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45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045 [2025/05/17 09:13] ssio2c3-045 [2025/05/23 20:40] (현재) ssio2
줄 14: 줄 14:
 분이 계셨는데 그가 공(公)의 14대조(十四代祖)가 되고, 분이 계셨는데 그가 공(公)의 14대조(十四代祖)가 되고,
 13대조(十三代祖)에 휘(諱) 인(麟)은 예조판서(禮曹判書)요, 13대조(十三代祖)에 휘(諱) 인(麟)은 예조판서(禮曹判書)요,
-12대조(十二代祖) 휘(諱) 치조(致祖)는 공조참의(工曹議)요,+12대조(十二代祖) 휘(諱) 치조(致祖)는 공조참의(工曹議)요,
 11대조(十一代祖) 휘(諱) 길원(吉源)은 선공감(繕工監) 정(正)이요, 11대조(十一代祖) 휘(諱) 길원(吉源)은 선공감(繕工監) 정(正)이요,
-10대조(十代祖) 휘(諱) 곤(坤)은 예조참의(禮曹議)요,+10대조(十代祖) 휘(諱) 곤(坤)은 예조참의(禮曹議)요,
 증조(曾祖)의 휘(諱)는 이겸(履謙)이요, 증조(曾祖)의 휘(諱)는 이겸(履謙)이요,
 조(祖)의 휘(諱)는 선(璿)이니 성균(成均) 생원(生員)이요, 조(祖)의 휘(諱)는 선(璿)이니 성균(成均) 생원(生員)이요,
줄 28: 줄 28:
 \_부군(府君)은 경묘(景廟) 임인(壬寅)에 서상(西上) 반송(盤松) \_부군(府君)은 경묘(景廟) 임인(壬寅)에 서상(西上) 반송(盤松)
 구제(舊第)에서 생(生)하였다. 천성(天性)이 돈후(敦厚)하고 구제(舊第)에서 생(生)하였다. 천성(天性)이 돈후(敦厚)하고
-인품(人品)이 범상(凡常)치 않으니 종족(宗族) 향당(黨)이+인품(人品)이 범상(凡常)치 않으니 종족(宗族) 향당(黨)이
 기특(奇特)히 여겨 칭찬(稱讚)이 기특(奇特)히 여겨 칭찬(稱讚)이
 자자하였고 겨우 10세(十歲) 시(時)에 벌써 시(詩)를 짓고 자자하였고 겨우 10세(十歲) 시(時)에 벌써 시(詩)를 짓고
줄 47: 줄 47:
 뛰어난 재질(才質)을 가상히 여겨 학과(學課)를 힘쓰게 하니 뛰어난 재질(才質)을 가상히 여겨 학과(學課)를 힘쓰게 하니
 마침 거유(巨儒)가 됨에 경락(京洛)의 공경(公卿)들이 그 학식(學識) 마침 거유(巨儒)가 됨에 경락(京洛)의 공경(公卿)들이 그 학식(學識)
-덕망(德望)을 모두 사모(思慕)하니 성(成) 참판(判) 덕우(德雨) +덕망(德望)을 모두 사모(思慕)하니 성(成) 참판(判) 덕우(德雨) 
 홍(洪) 승지(承旨) 언철(彦喆) 박(朴) 도정(都正) 사철(師喆) 등(等)이 홍(洪) 승지(承旨) 언철(彦喆) 박(朴) 도정(都正) 사철(師喆) 등(等)이
 모두 선생님(先生任)으로 존경(尊敬)하였다.  모두 선생님(先生任)으로 존경(尊敬)하였다. 
줄 80: 줄 80:
 九發解可爲 (구발해가위) 항시에는 쉬우나\\ 九發解可爲 (구발해가위) 항시에는 쉬우나\\
 一進士難得 (일진사난득) 한 진사(進士)를 얻기는 어렵더라.\\ 一進士難得 (일진사난득) 한 진사(進士)를 얻기는 어렵더라.\\
-진사(進士) 이광진(李光) 만시(輓詩)에 왈(曰)\\+진사(進士) 이광진(李光) 만시(輓詩)에 왈(曰)\\
 斷指絶誠春色暮 (단지절성춘색모) 단지하는 효성(孝誠)은 춘색(春色)이 저물었고\\ 斷指絶誠春色暮 (단지절성춘색모) 단지하는 효성(孝誠)은 춘색(春色)이 저물었고\\
-驚人佳作洛城傳 (경인가작락성전) 사람을 놀라게하는 시작(詩作)은 경향(京)에 전(傳)하였더라\\+驚人佳作洛城傳 (경인가작락성전) 사람을 놀라게하는 시작(詩作)은 경향(京)에 전(傳)하였더라\\
 진사(進士) 양덕주(梁德周) 만시(輓詩)에는 왈(曰)\\ 진사(進士) 양덕주(梁德周) 만시(輓詩)에는 왈(曰)\\
 以公志業何不成 (이공지업하불성) 공(公)이 뜻한 일로 이루지 못하리요, \\ 以公志業何不成 (이공지업하불성) 공(公)이 뜻한 일로 이루지 못하리요, \\
c3-045.174744078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7 09:13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