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47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047 [2025/05/15 14:39] ssio2c3-047 [2025/05/22 13:21] (현재) ssio2
줄 3: 줄 3:
 <typo ff:'한양해서'> <typo ff:'한양해서'>
 \_**敬窩黃得中遺蹟**\\ \_**敬窩黃得中遺蹟**\\
-\_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에 미균(米) 선생(先生)이라는 분이+\_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에 미균(米) 선생(先生)이라는 분이
 있었는데 그 휘(諱)는 유정(有定)이요 이조(李朝) 초(初)에 벼슬이 있었는데 그 휘(諱)는 유정(有定)이요 이조(李朝) 초(初)에 벼슬이
 공조판서(工曹判書)였다. 그의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이 높고 공조판서(工曹判書)였다. 그의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이 높고
줄 13: 줄 13:
 승원(勝元)이니 가선(嘉善)의 승원(勝元)이니 가선(嘉善)의
 증작(贈爵)을 받았고, 조(祖)의 휘(諱)는 기세(起世)이니 가선(嘉善)을 증작(贈爵)을 받았고, 조(祖)의 휘(諱)는 기세(起世)이니 가선(嘉善)을
-제수(除授)받았으며 고(考)의 휘(諱)는 옥(玉)이니 가선(嘉善)의+제수(除授)받았으며고(考)의 휘(諱)는 옥(玉)이니 가선(嘉善)의
 증첩(贈帖)을 받았다. 비(妣)는 정부인(貞夫人)이니 울진(蔚珍) 증첩(贈帖)을 받았다. 비(妣)는 정부인(貞夫人)이니 울진(蔚珍)
-임씨(林氏) 헌정(憲貞)의 여(女)로 영묘(英廟) 경술(庚戌) 9월(九月)+임씨(林氏) 헌정(憲貞)의 여(女)로영묘(英廟) 경술(庚戌) 9월(九月)
 24일(二十四日)에 공(公)을 낳으니 어릴 때부터 형용(形容)이  24일(二十四日)에 공(公)을 낳으니 어릴 때부터 형용(形容)이 
 미모(美貌)하고 성품(性品)이 온화(溫和)해 보이더니 점점(漸漸) 미모(美貌)하고 성품(性品)이 온화(溫和)해 보이더니 점점(漸漸)
줄 47: 줄 47:
 4남(四男)은 시채(時采)이니 참봉(參奉)이라. 여(女)는 김건수(金建壽) 4남(四男)은 시채(時采)이니 참봉(參奉)이라. 여(女)는 김건수(金建壽)
 나영호(羅永鎬) 김전(金銓) 박여(朴驪)에게 각각(各各) 출가(出嫁)하였다. 나영호(羅永鎬) 김전(金銓) 박여(朴驪)에게 각각(各各) 출가(出嫁)하였다.
-다음은 기록(記錄)을 부군(府君)이 법도(法度)있는 가훈(家訓)을+다음은 기록(記錄)을 생략(省略)한다.\\ 
 + 
 +\_부군(府君)이 법도(法度)있는 가훈(家訓)을
 준수하였고 숭고(崇高)한 이상(理想)을 가졌으나 명리(名利)를 준수하였고 숭고(崇高)한 이상(理想)을 가졌으나 명리(名利)를
 힘쓰지 않으시어 그 경륜(經綸)을 세상(世上)에 전(傳)치 못함은 힘쓰지 않으시어 그 경륜(經綸)을 세상(世上)에 전(傳)치 못함은
줄 53: 줄 55:
 산실(散失)되어 후세(後世)에 많이 전해지지 못하였음은 후손(後孫)들의 산실(散失)되어 후세(後世)에 많이 전해지지 못하였음은 후손(後孫)들의
 부족(不足)한 탓으로 죄송(罪悚)하기 한(恨)없다.\\ 부족(不足)한 탓으로 죄송(罪悚)하기 한(恨)없다.\\
-\_\_현손(玄孫) 두진(斗) 근찬(謹撰)+\_\_현손(玄孫) 두진(斗) 근찬(謹撰)
 </typo> </typo>
 </WRAP> </WRAP>
c3-047.174728754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5 14:3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