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05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052 [2025/05/18 17:29] 121.166.63.129c3-052 [2025/05/23 20:39] (현재) ssio2
줄 10: 줄 10:
 아들 3형제(三兄弟)를 두셨으며, 장자(長子)는 휘(諱) 진(璡)이니 아들 3형제(三兄弟)를 두셨으며, 장자(長子)는 휘(諱) 진(璡)이니
 태자검교(太子檢校)요, 다음은 휘(諱) 서(瑞)니 평해(評理)로 태자검교(太子檢校)요, 다음은 휘(諱) 서(瑞)니 평해(評理)로
-시호(諡號) 충절공(忠節公)이요, 그 다음은 휘(諱) 용(<fc:red>墉</fc>)이니+시호(諡號) 충절공(忠節公)이요, 그 다음은 휘(諱) 용(𤨭)이니
 대광(大匡)으로 시호(諡號) 충경공(忠敬公)이다. 이 세분이  대광(大匡)으로 시호(諡號) 충경공(忠敬公)이다. 이 세분이 
 3파(三派)로 나누이신 처음 조상(祖上)들인데 충경공(忠敬公)이 3파(三派)로 나누이신 처음 조상(祖上)들인데 충경공(忠敬公)이
줄 75: 줄 75:
 것이라 하고, 우리들이 살게 된 것은 오직 황공(黃公)의 힘이라 하였다 한다.\\ 것이라 하고, 우리들이 살게 된 것은 오직 황공(黃公)의 힘이라 하였다 한다.\\
  
-\_그 후(後) 또 공(公)은 모든 참모(謀)와 도원수(都元師) +\_그 후(後) 또 공(公)은 모든 참모(謀)와 도원수(都元師) 
 이성계(李成桂)와 함께 진군(進軍)할 것을 의논(議論)할 때 공(公)이 이성계(李成桂)와 함께 진군(進軍)할 것을 의논(議論)할 때 공(公)이
 말하기를 공양왕(恭讓王)은 유약(柔弱)하고 국정(國政)에 어두우며, 말하기를 공양왕(恭讓王)은 유약(柔弱)하고 국정(國政)에 어두우며,
줄 89: 줄 89:
 하물며 멀리 대군(大軍)을 거느리고 나아가서 항복(降服)받는다는 것은 하물며 멀리 대군(大軍)을 거느리고 나아가서 항복(降服)받는다는 것은
 화(禍)를 자초(自招)하는 것 밖에 되지 않는 화(禍)를 자초(自招)하는 것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니 회군(回軍)함이 옳다고 주장(主張)하였다. 이에 모든 참모(謀)들이+것이니 회군(回軍)함이 옳다고 주장(主張)하였다. 이에 모든 참모(謀)들이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황공(黃公)의 의견(意見)이 국가(國家)를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황공(黃公)의 의견(意見)이 국가(國家)를
 바로 잡는 옳바른 생각(生覺)이라 하여 모두 회군(回軍)을 찬성(贊成)하였다. 바로 잡는 옳바른 생각(生覺)이라 하여 모두 회군(回軍)을 찬성(贊成)하였다.
줄 97: 줄 97:
 왕명(王命) 거역(拒逆)으로 역모(逆謀)에 몰릴 것이 십상팔구(十常八九)인지라. 왕명(王命) 거역(拒逆)으로 역모(逆謀)에 몰릴 것이 십상팔구(十常八九)인지라.
 침식(寢食)을 잃고 심사숙고(深思熟考) 거듭거듭 침식(寢食)을 잃고 심사숙고(深思熟考) 거듭거듭
-참모회의(謀會議)를 열었으나 회군(回軍) 이외(以外)에 진군(進軍)을+참모회의(謀會議)를 열었으나 회군(回軍) 이외(以外)에 진군(進軍)을
 주장(主張)하는 사람은 한사람도 없는 고(故)로 부득이(不得已) 굳은 주장(主張)하는 사람은 한사람도 없는 고(故)로 부득이(不得已) 굳은
 각오(覺悟)를 하고 회군(回軍)을 명령(命令)하였다. 각오(覺悟)를 하고 회군(回軍)을 명령(命令)하였다.
줄 131: 줄 131:
 \_그리고 임신년(壬申年) 7월(七月)에 임금과 모든 신하(臣下)가 \_그리고 임신년(壬申年) 7월(七月)에 임금과 모든 신하(臣下)가
 모여 천지신명(天地神明)과 종묘사직(宗廟社稷)에 고(告)하는 모여 천지신명(天地神明)과 종묘사직(宗廟社稷)에 고(告)하는
-역사적(歷史的)인 회맹(會盟)에는 공(公)은 병환(病患)으로 참석(席)치+역사적(歷史的)인 회맹(會盟)에는 공(公)은 병환(病患)으로 참석(席)치
 못하고 졸(卒)하였다. 태조(太祖)가 친(親)히 빈소에 나시어 못하고 졸(卒)하였다. 태조(太祖)가 친(親)히 빈소에 나시어
 심(甚)히 슬픈 뜻으로 조상(弔喪)하고 은례(恩例)로서  심(甚)히 슬픈 뜻으로 조상(弔喪)하고 은례(恩例)로서 
줄 164: 줄 164:
  
 \_오호(嗚呼)라! 공(公)의 훈업(勳業)이 충훈부(忠勳府)에 기재(記載)되어 있고  \_오호(嗚呼)라! 공(公)의 훈업(勳業)이 충훈부(忠勳府)에 기재(記載)되어 있고 
-그 사실(史實)인 즉 한(漢)나라 소하(蕭河)와 조참(曺)이요, +그 사실(史實)인 즉 한(漢)나라 소하(蕭河)와 조참(曺)이요, 
 당(唐)나라 방현령(房玄齡)과 두여회(杜如晦)에 비(比)하여 조금도 당(唐)나라 방현령(房玄齡)과 두여회(杜如晦)에 비(比)하여 조금도
 부족(不足)함이 없다 하겠다. 정부(政府) 이름으로 예조(禮曹)에서 부족(不足)함이 없다 하겠다. 정부(政府) 이름으로 예조(禮曹)에서
c3-052.174755694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8 17:29 저자 121.166.6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