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17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32-017 [2025/06/07 12:16] ssio2c32-017 [2025/06/08 12:29] (현재) ssio2
줄 14: 줄 14:
 \_그래서 문중 노소친지(老少親知)가 나에게 비문을 새로 지어라 하나 연로하여  \_그래서 문중 노소친지(老少親知)가 나에게 비문을 새로 지어라 하나 연로하여 
 정신이 쇠진하고 기운이 떨어져 처음 사피코저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종사(宗事)에  정신이 쇠진하고 기운이 떨어져 처음 사피코저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종사(宗事)에 
-순종(順從)하는 도리가 못됨으로 마지 못하여 명에 쫓어 삼가 살펴보니 공의 휘는  +순종(順從)하는 도리가 못됨으로 마지 못하여 명에 쫓아 삼가 살펴보니 공의 휘는  
-희손(熙孫)이요 자는 호여(汝)요 호는 귀암(龜巖)이며 성은 황씨(黃氏)니 평해(平海)에서 +희손(熙孫)이요 자는 호여(汝)요 호는 귀암(龜巖)이며 성은 황씨(黃氏)니 평해(平海)에서 
 계출(系出)하셨다.\\ 계출(系出)하셨다.\\
  
 \_시조의 휘는 낙(洛)이라는 어른이오 중조(中祖)의 휘(諱) 온인(溫仁)은 고려조의  \_시조의 휘는 낙(洛)이라는 어른이오 중조(中祖)의 휘(諱) 온인(溫仁)은 고려조의 
-금오장군(金吾將軍)으로 태자검교(太子檢校)요 그로부터 4(四)대를 내려와서 휘(諱) 용()은+금오장군(金吾將軍)으로 태자검교(太子檢校)요 그로부터 4(四)대를 내려와서 휘(諱) 용(𤨭)은
 고려조 대광보국(大匡輔國)이요 시(諡)는 충경공(忠敬公)이요 휘(諱) 태백(太白)은  고려조 대광보국(大匡輔國)이요 시(諡)는 충경공(忠敬公)이요 휘(諱) 태백(太白)은 
 형조전서(刑曹典書)로 이조에 와서 증(贈) 우의정(右議政)이요 휘(諱) 우(祐)는  형조전서(刑曹典書)로 이조에 와서 증(贈) 우의정(右議政)이요 휘(諱) 우(祐)는 
 병조전서(兵曹典書)로 이조에 와서 증(贈) 좌의정(左議政)이요 휘(諱) 천계(天繼)는  병조전서(兵曹典書)로 이조에 와서 증(贈) 좌의정(左議政)이요 휘(諱) 천계(天繼)는 
 이조 초에 훈공(勳功)으로써 발탁되어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시고 세상에서  이조 초에 훈공(勳功)으로써 발탁되어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시고 세상에서 
-잠재선생(潛齋先生)이라 칭하고 휘(諱) 을석(乙碩)은 공조전서(工曹典書)요 휘(諱) 후로(厚老)는 +잠재선생(潛齋先生)이라 칭하고 휘(諱) 을석(乙碩)은 공조전서(工曹典書)요 휘(諱) 후로(厚老)는 
 녹사(錄事)요 휘(諱) 휴(睢)는 훈도(訓導)요 고조이며 휘(諱) 문수(文壽)는 선교랑(宣敎郞)이니 녹사(錄事)요 휘(諱) 휴(睢)는 훈도(訓導)요 고조이며 휘(諱) 문수(文壽)는 선교랑(宣敎郞)이니
-공에게 증조이며 조(祖)의 휘는 종사(從仕)니 진사(進士) 장사랑(將仕郞)이요 고(考)의 +공에게 증조이며조(祖)의 휘는 종사(從仕)니 진사(進士) 장사랑(將仕郞)이요고(考)의 
-휘(諱) 맹춘(孟春)은 생원승의(生員承議郞)이라.\\+휘(諱) 맹춘(孟春)은 생원승의(生員承議郞)이라.\\
  
-\_비(妣)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이철(以鐵)의 여이요 묘는 공과 동봉(同封)이며 1(一)남을+\_비(妣)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이철(以鐵)의 여이요 묘는 공과 동봉(同封)이며1(一)남을
 생하니 휘(諱) 희손(熙孫)이라 그 재질이 명민하고 가훈을 답습하여 선대의 교도를  생하니 휘(諱) 희손(熙孫)이라 그 재질이 명민하고 가훈을 답습하여 선대의 교도를 
 이어서 유행(儒行)이 독실하여 통훈대부(通訓大夫)의 위계에 오르고 배는  이어서 유행(儒行)이 독실하여 통훈대부(通訓大夫)의 위계에 오르고 배는 
-의성김씨(義城金氏) 응천應天)의 여로 예절을 닦았으며 2(二)남을 생하니 +의성김씨(義城金氏) 응천(應天)의 여로 예절을 닦았으며 2(二)남을 생하니 
 장자는 휘(諱) 귀성(貴成)이요 호는 만휴당(晩休堂)이라. 호성훈공(扈聖勳功)으로  장자는 휘(諱) 귀성(貴成)이요 호는 만휴당(晩休堂)이라. 호성훈공(扈聖勳功)으로 
 정략장군(定略將軍)이요 차자는 휘(諱) 한성(漢成)이니 호는 취적헌(取適軒)이라. 정략장군(定略將軍)이요 차자는 휘(諱) 한성(漢成)이니 호는 취적헌(取適軒)이라.
-휘귀성(貴成)이 남을 생하니 +(諱) 귀성(貴成)이 1(一)남을 생하니 
-휘필수(弼守)로 전력부위(展力副尉)요 휘한성(漢成)이 남을 생하니 휘세림(諱 +(諱) 필수(弼守)로 전력부위(展力副尉)요 휘(諱) 한성(漢成)이 1(一)남을 생하니 휘(諱 
-世琳)은 진사(進士)라여외(餘外)는 다 기하지 않는다. +세림(世琳)은 진사(進士)라여외(餘外)는 다 기하지 않는다.\\
-오호라 공의 세대가 이미 四百여년이 지났으니 그 독실한 행의와 아름다운 덕행 +
-은 오직 유문에 빙거할 수밖에 없을것인데 화재로 소실되고 수습함이 없으니 후손 +
-들의 무궁지한(無窮之恨)이라 하겠다. +
-돌이켜보건대 나같이 먼 예손이 어찌 감히 억칙으로 글을 쓸 수 있으랴.사유를 +
-기술하는 중에 혹 지나친데있어 오히려 공의 겸양지덕(謙讓之德)에 손(損)이 되는것 +
-을 두려워하여 간략히 세계와 이력과 자손의 후출만을 우(右)와같이 엮어 후인의 증 +
-빙이 되게 하노라。명왈(銘曰) +
-有屹九成(유흘구성) 구성봉(九成峯)이 높이솟아서 +
-淑氣磅礴(숙기방박) 맑은 기운이 장엄하도다. +
-寔近先兆(식근선조) 이곳 선조의 분묘아래에 +
-公塋是托(공영시락) 공의 분묘가 계시네+
  
-來孫景仰(내손경앙) 후손이 우러러뵈오니 +\_오호라 공의 세대가 이미 4백(四百)여년이 지났으니 그 독실한 행의와 아름다운  
-百世高風(백세고풍) 백세뒤에도 높은 풍도를 전하리 +덕행은 오직 유문에 빙거할 수밖에 없을 것인데 화재로 소실되고 수습함이 없으니  
-敢銘三尺(감명삼척) 감히 삼척비석에 새겨두니 +후손들의 무궁지한(無窮之恨)이라 하겠다.\\ 
-昭示無窮(소시무궁) 영원토록 밝게 빛나리로다. + 
-취적헌선생황한 성묘갈명(取適軒先生黃漢成墓碣銘) +\_돌이켜보건대 나같이 먼 예손이 어찌 감히 억측으로 글을 쓸 수 있으랴. 사유를 
-後裔孫 煥默謹撰+기술하는 중에 혹 지나친데 있어 오히려 공의 겸양지덕(謙讓之德)에 손(損)이 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간략히 세계와 이력과 자손의 후출만을 우(右)와 같이 엮어 후인의  
 +증빙이 되게 하노라. 명왈(銘曰)\\ 
 +\\ 
 +有屹九成(유흘구성) 구성봉(九成峯)이 높이 솟아서\\ 
 +淑氣磅礴(숙기방박) 맑은 기운이 장엄하도다.\\ 
 +寔近先兆(식근선조) 이곳 선조의 분묘 아래에\\ 
 +公塋是托(공영시탁) 공의 분묘가 계시네\\ 
 +來孫景仰(내손경앙) 후손이 우러러 뵈오니\\ 
 +百世高風(백세고풍) 백세 뒤에도 높은 풍도를 전하리.\\ 
 +敢銘三尺(감명삼척) 감히 삼척 비석에 새겨두니\\ 
 +昭示無窮(소시무궁) 영원토록 밝게 빛나리로다.\\ 
 +\\ 
 +\_\_후예손(後裔孫) 환묵(煥默) 근찬(謹撰)
 </typo> </typo>
 </WRAP> </WRAP>
c32-017.174926620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12:16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