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17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c32-017 [2025/06/07 22:59] ssio2c32-017 [2025/06/08 12:29] (현재) ssio2
줄 14: 줄 14:
 \_그래서 문중 노소친지(老少親知)가 나에게 비문을 새로 지어라 하나 연로하여  \_그래서 문중 노소친지(老少親知)가 나에게 비문을 새로 지어라 하나 연로하여 
 정신이 쇠진하고 기운이 떨어져 처음 사피코저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종사(宗事)에  정신이 쇠진하고 기운이 떨어져 처음 사피코저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종사(宗事)에 
-순종(順從)하는 도리가 못됨으로 마지 못하여 명에 쫓어 삼가 살펴보니 공의 휘는  +순종(順從)하는 도리가 못됨으로 마지 못하여 명에 쫓아 삼가 살펴보니 공의 휘는  
-희손(熙孫)이요 자는 호여(汝)요 호는 귀암(龜巖)이며 성은 황씨(黃氏)니 평해(平海)에서 +희손(熙孫)이요 자는 호여(汝)요 호는 귀암(龜巖)이며 성은 황씨(黃氏)니 평해(平海)에서 
 계출(系出)하셨다.\\ 계출(系出)하셨다.\\
  
줄 24: 줄 24:
 병조전서(兵曹典書)로 이조에 와서 증(贈) 좌의정(左議政)이요 휘(諱) 천계(天繼)는  병조전서(兵曹典書)로 이조에 와서 증(贈) 좌의정(左議政)이요 휘(諱) 천계(天繼)는 
 이조 초에 훈공(勳功)으로써 발탁되어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시고 세상에서  이조 초에 훈공(勳功)으로써 발탁되어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시고 세상에서 
-잠재선생(潛齋先生)이라 칭하고 휘(諱) 을석(乙碩)은 공조전서(工曹典書)요 휘(諱) 후로(厚老)는 +잠재선생(潛齋先生)이라 칭하고 휘(諱) 을석(乙碩)은 공조전서(工曹典書)요 휘(諱) 후로(厚老)는 
 녹사(錄事)요 휘(諱) 휴(睢)는 훈도(訓導)요 고조이며 휘(諱) 문수(文壽)는 선교랑(宣敎郞)이니 녹사(錄事)요 휘(諱) 휴(睢)는 훈도(訓導)요 고조이며 휘(諱) 문수(文壽)는 선교랑(宣敎郞)이니
-공에게 증조이며 조(祖)의 휘는 종사(從仕)니 진사(進士) 장사랑(將仕郞)이요 고(考)의 +공에게 증조이며조(祖)의 휘는 종사(從仕)니 진사(進士) 장사랑(將仕郞)이요고(考)의 
-휘(諱) 맹춘(孟春)은 생원승의(生員承議郞)이라.\\+휘(諱) 맹춘(孟春)은 생원승의(生員承議郞)이라.\\
  
 \_비(妣)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이철(以鐵)의 여이요 묘는 공과 동봉(同封)이며, 1(一)남을 \_비(妣)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이철(以鐵)의 여이요 묘는 공과 동봉(同封)이며, 1(一)남을
 생하니 휘(諱) 희손(熙孫)이라 그 재질이 명민하고 가훈을 답습하여 선대의 교도를  생하니 휘(諱) 희손(熙孫)이라 그 재질이 명민하고 가훈을 답습하여 선대의 교도를 
 이어서 유행(儒行)이 독실하여 통훈대부(通訓大夫)의 위계에 오르고 배는  이어서 유행(儒行)이 독실하여 통훈대부(通訓大夫)의 위계에 오르고 배는 
-의성김씨(義城金氏) 응천應天)의 여로 예절을 닦았으며 2(二)남을 생하니 +의성김씨(義城金氏) 응천(應天)의 여로 예절을 닦았으며 2(二)남을 생하니 
 장자는 휘(諱) 귀성(貴成)이요 호는 만휴당(晩休堂)이라. 호성훈공(扈聖勳功)으로  장자는 휘(諱) 귀성(貴成)이요 호는 만휴당(晩休堂)이라. 호성훈공(扈聖勳功)으로 
 정략장군(定略將軍)이요 차자는 휘(諱) 한성(漢成)이니 호는 취적헌(取適軒)이라. 정략장군(定略將軍)이요 차자는 휘(諱) 한성(漢成)이니 호는 취적헌(取適軒)이라.
c32-017.174930478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22:59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