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2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c32-024 [2025/06/07 16:18] ssio2c32-024 [2025/06/08 17:25] (현재) ssio2
줄 3: 줄 3: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_**농암황공 묘갈명**\\ \_**농암황공 묘갈명**\\
-\_영가(永嘉)(: 안동(安東))부 서쪽 풍천(豊川)위 이금실[仁今] 삼밭골[麻田谷] 장등 +\_영가(永嘉)(: 안동(安東))부 서쪽 풍천(豊川)위 이금실[인금(仁今)] 삼밭골[마전곡(麻田谷)] 장등 
 자좌(子坐)의 둔덕은 고 통정대부 첨지 중추부사 농암 황공의 의리(衣履)를 감춘 곳이다.  자좌(子坐)의 둔덕은 고 통정대부 첨지 중추부사 농암 황공의 의리(衣履)를 감춘 곳이다. 
 지금 1백(一百)여년이 되어 나무가 우거진 즉, 후손들이 선조의 자취가 민멸될까  지금 1백(一百)여년이 되어 나무가 우거진 즉, 후손들이 선조의 자취가 민멸될까 
줄 12: 줄 12:
 \_시조 휘 온인(溫仁) 이후로 대대로 벼슬하였고、15(十五)세에 이르러 휘 귀성(貴成)이 \_시조 휘 온인(溫仁) 이후로 대대로 벼슬하였고、15(十五)세에 이르러 휘 귀성(貴成)이
 있으니 호는 만휴당(晩休堂)이오 재용(才勇)과 지략(智略)이 있어 일찍이 서애(西厓)  있으니 호는 만휴당(晩休堂)이오 재용(才勇)과 지략(智略)이 있어 일찍이 서애(西厓) 
-상공(柳相公)의 문하에서 노닐어 여러번 장후(將詡)를 입었다.\\+상공(柳相公)의 문하에서 노닐어 여러번 장후(將詡)를 입었다.\\
  
 \_임진왜란(壬辰倭亂)을 만나 선생을 따라 좌막(佐幕)으로써 수행한 공으로  \_임진왜란(壬辰倭亂)을 만나 선생을 따라 좌막(佐幕)으로써 수행한 공으로 
-정략장군(定略將軍)에 제수되었으니 이분이 중세의 현조(顯祖)이시다. 6(六)세를 지나 휘 +정략장군(定略將軍)에 제수되었으니 이 분이 중세의 현조(顯祖)이시다. 6(六)세를 지나 휘 
 유철(有喆)은 통정대부 동지중추부사이고, 휘 만기(萬起)를 낳으니 통덕랑이며, 휘  유철(有喆)은 통정대부 동지중추부사이고, 휘 만기(萬起)를 낳으니 통덕랑이며, 휘 
 중남(重南)을 낳으니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이며, 계자 휘 정하(定河)는 곧 공의 고(考)이다.\\ 중남(重南)을 낳으니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이며, 계자 휘 정하(定河)는 곧 공의 고(考)이다.\\
줄 29: 줄 29:
 선현(先賢)의 집안 다스리는 요법(要法)을 표준으로 하여 자신을 선현(先賢)의 집안 다스리는 요법(要法)을 표준으로 하여 자신을
 검소함으로 지키고, 남에게 베풀기를 두텁게 하라 하고, 이에 이르기를 어진 사람은  검소함으로 지키고, 남에게 베풀기를 두텁게 하라 하고, 이에 이르기를 어진 사람은 
-재물로써 몸을 일으키고, 남의 어려움을 보면 힘을 다하여 구휼함에 친함과 성의 +재물로써 몸을 일으키고, 남의 어려움을 보면 힘을 다하여 구휼함에 친함과 성의 
 두 가지를 보이지 않는다 하셨다.\\ 두 가지를 보이지 않는다 하셨다.\\
  
줄 40: 줄 40:
 \_배(配) 숙부인(淑夫人) 창녕조씨(昌寧曹氏)는 남명(南冥)선생의 후손 학신(學新)의 \_배(配) 숙부인(淑夫人) 창녕조씨(昌寧曹氏)는 남명(南冥)선생의 후손 학신(學新)의
 따님이다. 4(四)남1(一)녀를 낳았으니 남은  따님이다. 4(四)남1(一)녀를 낳았으니 남은 
-경훈(景勛)·경승(景昇)·경순(景淳)·경천(景天)이고 여는 김수현(金秀鉉)이다. +경훈(景勛)경승(景昇)경순(景淳)경천(景天)이고 여는 김수현(金秀鉉)이다. 
 경훈(景勛)의 남은 인동(寅東)이며 문행(文行)이 있었고 호는 어초재(漁樵齋)이다.  경훈(景勛)의 남은 인동(寅東)이며 문행(文行)이 있었고 호는 어초재(漁樵齋)이다. 
-경승(景昇)의 남은 재동(載東)·응동(應東)·섭동(燮東)이며 여는 김현무(金顯武)·김갑출(金甲出)이다.  +경승(景昇)의 남은 재동(載東)응동(應東)섭동(燮東)이며 여는 김현무(金顯武)김갑출(金甲出)이다.  
-경순(景淳)의 남은 희동(熙東)·도동(道東)·한동(漢東)이요,  +경순(景淳)의 남은 희동(熙東)도동(道東)한동(漢東)이요,  
-경천(景天)의 남은 원동(遠東)·노동(魯東)·차동(且東)·수동(水東)·인동(寅東)이다.\\+경천(景天)의 남은 원동(遠東)노동(魯東)차동(且東)수동(水東)인동(寅東)이다.\\
  
 \_인동(寅東)의 남은 건구(建九)며 여는 김대연(金大淵)이다.  \_인동(寅東)의 남은 건구(建九)며 여는 김대연(金大淵)이다. 
-재동(載東)의 남은 대구(大九),찬생(燦生)·찬암(燦巖)은 출계했고,  +재동(載東)의 남은 대구(大九)찬생(燦生)찬암(燦巖)은 출계했고,  
-여는 재인(權在仁)·권일한(權一漢)·김인기(金寅基)·장운학(張雲鶴)이다. +여는 재인(權在仁)권일한(權一漢)김인기(金寅基)장운학(張雲鶴)이다. 
 응동(應東)의 사자(嗣子)는 찬생(燦生)이고,  응동(應東)의 사자(嗣子)는 찬생(燦生)이고, 
 병동(秉東)의 사자는 찬암(燦巖)이며, 여는  병동(秉東)의 사자는 찬암(燦巖)이며, 여는 
-김덕수(金德守)·남상윤(南相尹)·김주섭(金周燮)·이현구(李現求)·김광랑(金光郞)이다.  +김덕수(金德守)남상윤(南相尹)김주섭(金周燮)이현구(李現求)김광랑(金光郞)이다.  
-섭동(燮東)의 남은 진구(進九)·영구(英九)며 여는  +섭동(燮東)의 남은 진구(進九)영구(英九)며 여는  
-박영선(朴永善)·권돌이(權乭伊)·권중곤(權重坤)·안상열(安相烈)이며,  +박영선(朴永善)권돌이(權乭伊)권중곤(權重坤)안상열(安相烈)이며,  
-희동(熙東)의 남은 윤구(潤九)·찬경(燦敬)이다.\\+희동(熙東)의 남은 윤구(潤九)찬경(燦敬)이다.\\
  
-\_도동(道東)의 남은 성구(成九)며 여는 김영진(金永振)·수(金頓守)·심복섭(沈福燮)·이상민(李相珉)이다. +\_도동(道東)의 남은 성구(成九)며 여는 김영진(金永振)수(金頓守)심복섭(沈福燮)이상민(李相珉)이다. 
-한동(漢東)의 남은 시구(時九)며 여는 장응락(張應洛)·김중기(金仲基)다. +한동(漢東)의 남은 시구(時九)며 여는 장응락(張應洛)김중기(金仲基)다. 
 원동(遠東)의 남은 찬구(燦九)며, 노동(魯東)의 남은 성구(聖九)・창구(昌九)며,  원동(遠東)의 남은 찬구(燦九)며, 노동(魯東)의 남은 성구(聖九)・창구(昌九)며, 
-차동(且東)의 남은 일신(一信)·영신(英信)·태신(太信)이며 여는 이규환(李圭煥)·정진욱(鄭旭)이다.  +차동(且東)의 남은 일신(一信)영신(英信)태신(太信)이며 여는 이규환(李圭煥)정진욱(鄭旭)이다.  
-수동(水東)의 남은 찬욱(燦旭)·찬일(燦溢)이며, 현손(玄孫) 이하는 많아서 기록하지 않는다. +수동(水東)의 남은 찬욱(燦旭)찬일(燦溢)이며, 현손(玄孫) 이하는 많아서 기록하지 않는다. 
-공의 제사를 받드는 자는 구(建九)이고 +공의 제사를 받드는 자는 구(建九)이고 
-아들은 병순(昞舜)·병식(昞植)이며, 여는 김상원(金相元)이고 병순(昞舜)의 아들은+아들은 병순(昞舜)병식(昞植)이며, 여는 김상원(金相元)이고 병순(昞舜)의 아들은
 철기(哲起)며 철기의 아들은 현기(鉉機)이다.\\ 철기(哲起)며 철기의 아들은 현기(鉉機)이다.\\
  
-\_아! 선인(善人)의 은택이 4(四)세에 이르러 내·외손이 모두 60(六十)여명에 이른 즉+\_아! 선인(善人)의 은택이 4(四)세에 이르러 내외손이 모두 60(六十)여명에 이른 즉
 공의 쌓은 음덕(陰德)이 두터움과 밝고 높은 덕을 알겠도다.\\ 공의 쌓은 음덕(陰德)이 두터움과 밝고 높은 덕을 알겠도다.\\
  
c32-024.174928070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16:18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