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25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c32-025 [2025/06/07 23:00] ssio2c32-025 [2025/06/08 17:28] (현재) ssio2
줄 18: 줄 18:
 이노만(李蘆湾)의 문하에 취학(就學)하여 자세히 읽고 익숙하게 생각함에 문예(文芸)가 이노만(李蘆湾)의 문하에 취학(就學)하여 자세히 읽고 익숙하게 생각함에 문예(文芸)가
 일찍 성취하니라. 숭고한 문장을 지어 벽에 붙여놓고 같은 학자로 하여금 감동을 일찍 성취하니라. 숭고한 문장을 지어 벽에 붙여놓고 같은 학자로 하여금 감동을
-일으키게 한 바있으니 따라 청하는 자 더욱 많아지고 성취하는 자 많은지라 그의 선조  +일으키게 한 바 있으니 따라 청하는 자 더욱 많아지고 성취하는 자 많은지라 그의 선조  
-만휴당(晩休堂)의 의로운 행(行績)의 누락(漏落)을 한탄하여 하회(河回)의 류씨(柳氏)와 +만휴당(晩休堂)의 의로운 행(行績)의 누락(漏落)을 한탄하여 하회(河回)의 류씨(柳氏)와 
 더불어 변증(辨證)한지 37(三十七)년의 오랜 후에 천명(闡明)하니 그 독실(篤實)함이  더불어 변증(辨證)한지 37(三十七)년의 오랜 후에 천명(闡明)하니 그 독실(篤實)함이 
 추선(追先)보다도 더 돈독(敦篤)함이 어찌 이런 것들이 있겠는가.\\ 추선(追先)보다도 더 돈독(敦篤)함이 어찌 이런 것들이 있겠는가.\\
줄 30: 줄 30:
 경복(敬服)하지 않음이 없더라. 어버이 섬김에 지체구양(志軆俱養)의 도를 겸하고  경복(敬服)하지 않음이 없더라. 어버이 섬김에 지체구양(志軆俱養)의 도를 겸하고 
 돌아가심에 예를 따라 어김이 없으며 가내(家内)를 어거함에 법도가 있어 매 출입에  돌아가심에 예를 따라 어김이 없으며 가내(家内)를 어거함에 법도가 있어 매 출입에 
-사당(祠堂)에 불천식(不薦不食)하며 제일(祭日)에 엄숙히 제수(祭需)를 넉넉하게 갖추고+사당(祠堂)에 불천식(不薦不食)하며 제일(祭日)에 엄숙히 제수(祭需)를 넉넉하게 갖추고
 일가친척과 함께함에 다 서로 화목하고 어려움을 도우니라. 대개 효우(孝友)가  일가친척과 함께함에 다 서로 화목하고 어려움을 도우니라. 대개 효우(孝友)가 
 집에서 행해지고 인애(仁愛)가 남에게 미치니 어찌 성덕(盛德)한 군자(君子)가 아니겠는가.\\ 집에서 행해지고 인애(仁愛)가 남에게 미치니 어찌 성덕(盛德)한 군자(君子)가 아니겠는가.\\
줄 41: 줄 41:
 제수(除授)되니 이는 공의 12(十二)대조이다.\\ 제수(除授)되니 이는 공의 12(十二)대조이다.\\
  
-\_고조는 휘 만(晩杰)로 사복시(司僕寺) 증직(贈職)이고, 증조는 휘 복하(復河)는 +\_고조는 휘 만(晩杰)로 사복시(司僕寺) 증직(贈職)이고, 증조는 휘 복하(復河)로 
 추증(追贈)에 승지(承旨)요, 조는 휘 종운(鍾韻)이니 가업을 일으켜  추증(追贈)에 승지(承旨)요, 조는 휘 종운(鍾韻)이니 가업을 일으켜 
 빈민구제(貧民救濟)하셨고, 고는 휘 경화(景華)니 효로서 세상에 문명(聞名)하고, 비(妣)는  빈민구제(貧民救濟)하셨고, 고는 휘 경화(景華)니 효로서 세상에 문명(聞名)하고, 비(妣)는 
줄 47: 줄 47:
  
 \_공은 서기 1847(一八四七) 정미(丁未) 생에 졸(卒)은 1921(一九二一) 신유(辛酉) 3(三)월 26(二十六)일 \_공은 서기 1847(一八四七) 정미(丁未) 생에 졸(卒)은 1921(一九二一) 신유(辛酉) 3(三)월 26(二十六)일
-수(壽) 75(七十五)로 백운동(白雲洞) 반월하(半月下)에 유원(西原)이라.  +수(壽) 75(七十五)로 백운동(白雲洞) 반월하(半月下)에 유원(原)이라.  
-배(配)는 안동김씨(安東金氏) 선평(宣平)로 백순(百淳)의 여로 1846(一八四六) 병오(丙午)에 생으로서 +배(配)는 안동김씨(安東金氏) 선평(宣平) 후손으로 백순(百淳)의 여로 1846(一八四六) 병오(丙午) 생으로서 
 1927(一九二七) 정묘(丁卯) 2(二)월 13(十三)일 졸로 81(八十一)세로 묘는 공과 합조(合兆)라.\\ 1927(一九二七) 정묘(丁卯) 2(二)월 13(十三)일 졸로 81(八十一)세로 묘는 공과 합조(合兆)라.\\
  
 \_3(三)남1(一)녀에 남에는 찬세(燦世) 찬시(燦時) 찬우(燦宇)요 여는 청송(靑松)) 심상춘(沈相春)이라.  \_3(三)남1(一)녀에 남에는 찬세(燦世) 찬시(燦時) 찬우(燦宇)요 여는 청송(靑松)) 심상춘(沈相春)이라. 
-장자의 남은 병(昞烈)이요 여에는 단양(丹陽) 우희도(禹熙道)요  +장자의 남은 병(昞烈)이요 여에는 단양(丹陽) 우희도(禹熙道)요  
-차자의 남은 병래(來) 병률(昞律) 병주(朱)요 +차자의 남은 병래(來) 병률(昞律) 병주(朱)요 
 3(三)자의 남은 병순(昞舜) 병우(昞瑀)요 여는 양성(陽城) 이광규(李光奎)와 밀양(密陽) 박한갑(朴漢甲)이니  3(三)자의 남은 병순(昞舜) 병우(昞瑀)요 여는 양성(陽城) 이광규(李光奎)와 밀양(密陽) 박한갑(朴漢甲)이니 
 차증손(次曾孫) 영기(榮起)가 치석(治石)하니 누가 아버지를 생각하는 독실함에 감탄치 않으리요. 차증손(次曾孫) 영기(榮起)가 치석(治石)하니 누가 아버지를 생각하는 독실함에 감탄치 않으리요.
c32-025.174930482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23:00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