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2-03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c32-031 [2025/06/07 18:31] – 만듦 ssio2 | c32-031 [2025/06/08 20:19] (현재) – ssio2 | ||
---|---|---|---|
줄 3: | 줄 3: | ||
<typo ff:' | <typo ff:' | ||
\_**회남처사(晦南處士) 황공행장(黃公行狀)**\\ | \_**회남처사(晦南處士) 황공행장(黃公行狀)**\\ | ||
- | \_공의 휘는 계수(桂秀)이고 자는 계순(啓舜)이며, | + | \_공의 휘는 계수(桂秀)이고 자는 계순(啓舜)이며, |
- | 氏)인데 기성인(箕城人)이라。그 선조는 중국(中國) 강하(江夏)에서 한건무연간(漢建 | + | 황씨(黃氏)인데 기성인(箕城人)이라. 그 선조는 중국(中國) 강하(江夏)에서 한(漢) |
- | 武年間)에 출(出)하신 학시공(學士公) 휘락(洛)인데, | + | 건무연간(建武年間)에 출(出)하신 학사공(學士公) 휘 낙(洛)인데, |
- | 해(平海)에 안거(安居)하시어 자손이 이에 관향(貫鄕)을 삼았다. | + | 평해(平海)에 안거(安居)하시어 자손이 이에 관향(貫鄕)을 삼았다.\\ |
- | 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명현(名賢)과 석학(碩學)이 줄을 이었고 조선조(朝鮮朝)에 | + | |
- | 들어와 휘 천계(天繼)공께서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셨으며, | + | \_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명현(名賢)과 석학(碩學)이 줄을 이었고 조선조(朝鮮朝)에 |
- | 여 휘 귀성(貴成)공은 임진왜란(壬辰倭亂) 원총공신(原從功臣)으로 정략장군(定略將 | + | 들어와 휘 천계(天繼)공께서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셨으며, |
- | 軍)에 오르셨으며 호는 만휴당(晚休堂)이고 문집이 세상에 전해지고 있다. | + | 휘 귀성(貴成)공은 임진왜란(壬辰倭亂)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정략장군(定略將軍)에 |
- | 고조의 휘가 운보(雲普)이고 증조는 휘가 윤언(潤彦)이며 효성이 지극하고 유학(儒 | + | 오르셨으며 호는 만휴당(晩休堂)이고 문집이 세상에 전해지고 있다.\\ |
- | 學)에 뜻을 두어 향리의 칭송을 받았다. 조부의 휘는 종태(鍾泰)이고 호는 노은(老 | + | |
- | 隱)인데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수진(隱居修身)하였다.부친의 휘는 하진(河鎮) | + | \_고조의 휘가 운보(雲普)이고 증조는 휘가 윤언(潤彦)이며 효성이 지극하고 유학(儒學)에 |
- | 인데 불행히도 일찍 세상을 떠났으며 모친은 김녕김씨(金寧金氏)로 긍연(兢淵)의 따 | + | 뜻을 두어 향리의 칭송을 받았다. 조부의 휘는 종태(鍾泰)이고 호는 노은(老隱)인데 |
- | 님이고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의 후손인데 부덕(婦德)을 갖추었다. | + |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수신(隱居修身)하였다. 부친의 휘는 하진(河鎭)인데 |
- | 공은 고종(高宗) 신미(辛未: | + | 불행히도 일찍 세상을 떠났으며 모친은 김녕김씨(金寧金氏)로 긍연(兢淵)의 따님이고 |
- | 에서 출생하였다. 성품은 단정하고 재기(才氣)가 총병하여 초년시절에 서당(書堂)에 | + |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의 후손인데 부덕(婦德)을 갖추었다.\\ |
+ | |||
+ | \_공은 고종(高宗) 신미(辛未)(: 1871(一八七一)) 11(十一)월 17(十七)일생이고 | ||
+ | 인계리(仁溪里) 자택에서 출생하였다. 성품은 단정하고 재기(才氣)가 총명하여 | ||
+ | 초년시절에 서당(書堂)에 | ||
나아갔으나 어른의 가책이나 독려가 없이도 이미 자의(字義)를 해독하였으니 조부 | 나아갔으나 어른의 가책이나 독려가 없이도 이미 자의(字義)를 해독하였으니 조부 | ||
노은(老隱)공께서 특히 총애하여 사람에 이르기를 「이 아이는 반드시 우리 가문을 | 노은(老隱)공께서 특히 총애하여 사람에 이르기를 「이 아이는 반드시 우리 가문을 | ||
- | 키울 것이니 부지런히 가르치겠다」고 하였다. 성장하면서 학업이 점진(漸進)되고 | + | 키울 것이니 부지런히 가르치겠다」고 하였다. 성장하면서 학업이 점진(漸進)되고 |
- | 사(文思)가 발휘되어 드디어 하회(河回)로 우리의 조부인 전원부군(田園府君)을 찾아 | + | 문사(文思)가 발휘되어 드디어 하회(河回)로 우리의 조부인 전원부군(田園府君)을 찾아와 |
- | 와 입문하여 질의응답에 임하자 선생이 극찬하며 특별히 대학(大學) 일부를 주어 | + | 입문하여 질의응답에 임하자 선생이 극찬하며 특별히 대학(大學) 일부를 주어 |
- | 물치지(格物致知)의 법을 탐구하도록 하였다.공은 스승을 믿고 따랐으며 질의응답 | + |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법을 탐구하도록 하였다. 공은 스승을 믿고 따랐으며 질의응답을 |
- | 을 통하여 법을 탐구하였다.집은 매우 청빈(清貧)하였지만 관솔가지로 불을 밝히며 | + | 통하여 법을 탐구하였다. 집은 매우 청빈(淸貧)하였지만 관솔가지로 불을 밝히며 |
- | 침식(寢食)을 잊기에 이르렀고 반드시 그 심오한 뜻을 탐구한 후에 그쳤다. | + | 침식(寢食)을 잊기에 이르렀고 반드시 그 심오한 뜻을 탐구한 후에 그쳤다.\\ |
- | 무자(戊子)년에 부친상을 당하여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장례를 치루었는데, | + | |
- | 그 때 조부 노은(老隱)공께서 춘추가 매우 높은 데다가 아들을 잃은 참상(慘喪)을 | + | \_무자(戊子)년에 부친상을 당하여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장례를 치루었는데, |
- | 해 상심(傷心)한 나머지 오래도록 병상에 누워 기동할 수 없게 되자 지극정성(至極 | + | 그 때 조부 노은(老隱)공께서 춘추가 매우 높은 데다가 아들을 잃은 참상(慘喪)을 |
- | 精誠)으로 탕약(湯藥)과 음식을 공진(供進)하였으며 대소변은 반드시 손수 받아내고 | + | 당해 상심(傷心)한 나머지 오래도록 병상에 누워 기동할 수 없게 되자 지극정성(至極精誠)으로 |
- |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아니하였다. | + | 탕약(湯藥)과 음식을 공진(供進)하였으며 대소변은 반드시 손수 받아내고 |
- | 이와 같이 하기를 삼년' | + |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아니하였다.\\ |
- | 부노은(老隱)공 마져 세상을 떠나자 그 애통하는 심정이 부친상 때 보다 더하였다. | + | |
+ | \_이와 같이 하기를 삼년, 부친상(父親喪)을 겨우 벗어날 무렵 하늘도 무심하여 | ||
+ | 조부 노은(老隱)공 마저 세상을 떠나자 그 애통하는 심정이 부친상 때 보다 더하였다. | ||
이어서 조부의 상기(喪期)가 미쳐 지나기도 전에 중부(仲父)와 계부(季父)가 차례로 | 이어서 조부의 상기(喪期)가 미쳐 지나기도 전에 중부(仲父)와 계부(季父)가 차례로 | ||
세상을 떠나니 참상(慘喪)이 거듭되어 실로 사람으로써 감당하기 어려웠으나 공은 | 세상을 떠나니 참상(慘喪)이 거듭되어 실로 사람으로써 감당하기 어려웠으나 공은 | ||
애통을 참고 억제하여 상장(喪葬)을 주선하여 처변(處變)이라도 처상(處常)과 같이 | 애통을 참고 억제하여 상장(喪葬)을 주선하여 처변(處變)이라도 처상(處常)과 같이 | ||
- | 하였으니 배움의 힘이 없었다면 어찌 이와 같이 할 수 있었으리오 선조를 받들어 | + | 하였으니 배움의 힘이 없었다면 어찌 이와 같이 할 수 있었으리오. 선조를 받들어 |
- | 각처의 | + | 각처의 |
- | 형제오인(兄弟五人)의 우애(友愛)가 돈독(敦篤)하였고 공은 장형(長兄)이었는데, | + | |
- | 자신은 굶주려도 아우들을 도와 주었으므로 비록 옛 설포(薛包: | + | \_형제오인(兄弟五人)의 우애(友愛)가 돈독(敦篤)하였고 공은 장형(長兄)이었는데, |
- | 보다 더하지 않았다. 경자(庚子: | + | 자신은 굶주려도 아우들을 도와 주었으므로 비록 옛 설포(薛包)(: 사람 이름)라도 |
- | 같이 장례를 치루었다. | + | 이보다 더하지 않았다. 경자(庚子)(: 1900(一九〇〇))년에 조모의 상을 당하여 전례(前例)와 |
- | 상기(喪期)를 마친후 향인(鄉人)이 권하여 잠시 과거시험(科舉試驗)을 본 일이 | + | 같이 장례를 치루었다.\\ |
- | 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귀향하였다. | + | |
- | 언젠가 말씀하시기를、「세상에 과거에 뜻을 둔 자는 의례히 조열부양(操熱浮揚)하 | + | \_상기(喪期)를 마친 후 향인(鄉人)이 권하여 잠시 과거시험(科舉試驗)을 본 일이 |
- | 여 그칠줄 모르니 그 이유는 무엇인가.궁달(窮達)이 유명(有命)한데 | + | 있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귀향하였다.\\ |
- | 구하였으나 얻지 못하면 그만 두는 것이 옳지 않겠는가. 어찌 고생스럽게 백발(白 | + | |
- | 髮)을 나부끼며 관가(官街)에 재주와 명예를 내 세우려고 안간힘을 쓰며 부끄러워 | + | \_언젠가 말씀하시기를, 「세상에 과거에 뜻을 둔 자는 의례히 조열부양(操熱浮揚)하여 |
- | 이에 고인(古人)의 도회(韜晦 학문을 감추고 드러내지 않음의 뜻)하고 취정(就靜) | + | 그칠 줄 모르니 그 이유는 무엇인가. 궁달(窮達)이 유명(有命)한데 |
- | 하는 뜻을 취하여 | + | 구하였으나 얻지 못하면 그만 두는 것이 옳지 않겠는가. 어찌 고생스럽게 백발(白髮)을 |
- | (夙興夜寐箴: | + | 나부끼며 관가(官街)에 재주와 명예를 내세우려고 안간힘을 쓰며 부끄러워 |
+ | |||
+ | \_이에 고인(古人)의 도회(韜晦)(: 학문을 감추고 드러내지 않음의 뜻)하고 취정(就靜)하는 | ||
+ | 뜻을 취하여 | ||
+ |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일찍 일어나고 늦게 자는 부지런함을 일깨우는 경귀)을 벽에 걸어 | ||
+ | 좌우명(座右銘)으로 삼았으니 소박함을 뜻함이다.\\ | ||
+ | |||
+ | \_을축(乙丑)(: | ||
+ | 제례를 집전(執典)하는 여가에 선세(先世)의 지명장갈(誌銘狀碣) 등을 문자로 초출(抄出)하여 | ||
+ | 책으로 엮어 후손들이 가계(家系)를 알도록 하였으니 공은 선(善)으로써 | ||
+ | 시종(始終)하고 하늘의 뜻을 따른 인물이라 이를 수 있다. 병술(丙戌)(: | ||
+ | 11(十一)월 18(十八)일에 병환으로 세상을 하직하였으며, | ||
+ | 검성곡(儉省谷) 고묘(考墓) 아래 간좌(艮坐)에 안장하였다.\\ | ||
+ | |||
+ | \_부인은 월성최씨(月城崔氏)이며 참봉(參奉) 도원(道源)의 따님으로서 여사(女史)의 | ||
+ | 풍모(風貌)가 있었으며 공보다 16(十六)년 전에 세상을 떠났고 묘는 합부(合祔)이다.\\ | ||
- | 우명(座右銘)으로 삼았으니 소박함을 뜻함이다. | + | \_공은 |
- | 을축(乙丑: | + | 의성김씨(義城金氏) 달용(達用)에게 출가를 하였고 차녀는 선성이씨(宣城李氏) 회정(會貞)에게 |
- | 제례를 집전(執典)하는 여가에 전세(先世)의 지명장갈(誌銘狀碣) 등을 문자로 초출 | + | 출가를 하였다. 환묵(煥默)은 |
- | (抄出)하여 책으로 엮어 후손들이 가계(家系)를 알도록 하였으니 | + | 차남은 천응(千應), 삼남은 문응(文應), 사남은 시학(時學)이다. 대성(大成)은 |
- | 시종(始終)하고 하늘의 뜻을 따른 인물이라 이를 수 있다.병술(丙戌: | + | 3(三)녀를 두었는데 장남은 영기(永起)이며 나머지는 어리다. 그 밖에 내외손의 수가 |
- | 十一월 十八日에 병환으로 세상을 하직하였으며, | + | 많아 다 기록하지 못한다.\\ |
- | 谷) 고묘(考墓) 아래 간좌(艮坐)에 안장하였다.() | + | |
- | 부인은 월성최씨(月城崔氏)이며 참봉(參奉) 도원(道源)의 따님으로서 여사(女史)의 | + | |
- | 풍모(風貌)가 있었으며 공보다 十六년 전에 세상을 떠났고 묘는 합부(合術)이다. | + | |
- | 공은 느남 그녀를 두었는데, | + | |
- | 의성김씨(義城金氏) 달용(達用)에게 출가를 하였고 차녀는 선성이씨(宣城李氏) 회정 | + | |
- | (會貞)에게 출가를 하였다. 환묵(煥默)은 四男 二녀를 두었는데 장남은 대성(大成)、 | + | |
- | 차남은 천응(千應)、삼남은 문응(文應)、사남은 시학(時學)이다.대성(大成)은 三남 | + | |
- | 三녀를 두었는데 장남은 영기(永起)이며 나머지는 어리다. 그 밖에 내외손의 수가 | + | |
- | 많아 다 기록하지 못한다. | + | |
- | 아! 공의 품성(稟性)은 순(純)하고 학식(學識)은 박(博)하며 진취(進就)는 정(正) | + | |
- | 하고 행실(行實)은 돈후(惇厚)하였다. 그럼에도 적시(適時)를 만나지 못하여 불행으 | + | |
+ | \_아! 공의 품성(稟性)은 순(純)하고 학식(學識)은 박(博)하며 진취(進就)는 정(正)하고 | ||
+ | 행실(行實)은 돈후(惇厚)하였다. 그럼에도 적시(適時)를 만나지 못하여 불행으로 | ||
+ | 소온(所蘊)(: | ||
+ | 한이 없지 않으리요.\\ | ||
- | 로 소온(所蘊: | + | \_나는 공과 더불어 예(禮)로써 상종(相從)하고 편지를 주고 받은 지가 거의 |
- | 에 한이 없지 않으리요 | + | 된 즉 서로의 우정은 다른 사람에 비길 바가 아니다. 그러니 기왕에 겸(兼)하여 서로 |
- | 나는 공과 더불어 예(禮)로써 상종(相從)하고 편지를 주고 받은 지가 거의 六十년 | + | 대대로 내려가면서 친밀하게 지내도록 함이 어떤가.\\ |
- | 이 된즉 서로의 우정은 다른사람에 비길 바가 아니다. 그러니 기왕에 겸(兼)하여 서 | + | |
- | 로 대대로 내려가면서 친밀하게 지내도록 함이 어떤가 | + | |
- | 나는 병폐(病廢)하여 앞으로 오래 살지 못할 형편이라. 일전에 공의 초윤(肖胤)인 | + | |
- | 환묵(煥默)이 유사(遺事) 一통을 가지고 와서 보이고 공의 생전 행장(行狀)을 부탁하 | + | |
- | 였다. 처음에는 사양하였으나 그 청이 유근(愈勤)하므로 이에 효심에 감복하여 유사 | + | |
- | 를 산윤(刪潤: | + | |
- | 현은(玄隱) 황공(黃公) 묘갈명(墓碣銘) | + | |
- | 丙申 小春節 下浣(一九五六년 +월 하순) | + | |
- | 풍산(豊山) 류승우(柳承佑) 근친(謹撰) | + | |
+ | \_나는 병폐(病廢)하여 앞으로 오래 살지 못할 형편이라. 일전에 공의 초윤(肖胤)인 | ||
+ | 환묵(煥默)이 유사(遺事) 1(一)통을 가지고 와서 보이고 공의 생전 행장(行狀)을 부탁하였다. | ||
+ | 처음에는 사양하였으나 그 청이 유근(愈勤)하므로 이에 효심에 감복하여 유사를 | ||
+ | 산윤(刪潤)(: | ||
+ | \_\_병신(丙申) 소춘절(小春節) 하완(下浣)(1956(一九五六)년 10(十)월 하순)\\ | ||
+ | \_\_풍산(豊山) 류승우(柳承佑) 근찬(謹撰) | ||
+ | </ | ||
+ | </ |
c32-031.174928867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18:3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