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2-03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32-031 [2025/06/07 22:42] – ssio2 | c32-031 [2025/06/08 20:19] (현재) – ssio2 | ||
---|---|---|---|
줄 4: | 줄 4: | ||
\_**회남처사(晦南處士) 황공행장(黃公行狀)**\\ | \_**회남처사(晦南處士) 황공행장(黃公行狀)**\\ | ||
\_공의 휘는 계수(桂秀)이고 자는 계순(啓舜)이며, | \_공의 휘는 계수(桂秀)이고 자는 계순(啓舜)이며, | ||
- | 황씨(黃氏)인데 기성인(箕城人)이라. 그 선조는 중국(中國) 강하(江夏)에서 한(漢) 건무연간(建 | + | 황씨(黃氏)인데 기성인(箕城人)이라. 그 선조는 중국(中國) 강하(江夏)에서 한(漢) |
- | 武年間)에 출(出)하신 학tk공(學士公) 휘 skr(洛)인데, | + | 건무연간(建武年間)에 출(出)하신 학사공(學士公) 휘 낙(洛)인데, |
평해(平海)에 안거(安居)하시어 자손이 이에 관향(貫鄕)을 삼았다.\\ | 평해(平海)에 안거(安居)하시어 자손이 이에 관향(貫鄕)을 삼았다.\\ | ||
\_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명현(名賢)과 석학(碩學)이 줄을 이었고 조선조(朝鮮朝)에 | \_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명현(名賢)과 석학(碩學)이 줄을 이었고 조선조(朝鮮朝)에 | ||
들어와 휘 천계(天繼)공께서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셨으며, | 들어와 휘 천계(天繼)공께서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역임하셨으며, | ||
- | 휘 귀성(貴成)공은 임진왜란(壬辰倭亂) 원whd공신(原從功臣)으로 정략장군(定略將軍)에 | + | 휘 귀성(貴成)공은 임진왜란(壬辰倭亂)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정략장군(定略將軍)에 |
오르셨으며 호는 만휴당(晩休堂)이고 문집이 세상에 전해지고 있다.\\ | 오르셨으며 호는 만휴당(晩休堂)이고 문집이 세상에 전해지고 있다.\\ | ||
줄 20: | 줄 20: | ||
\_공은 고종(高宗) 신미(辛未)(: | \_공은 고종(高宗) 신미(辛未)(: | ||
- | 인계리(仁溪里) 자택에서 출생하였다. 성품은 단정하고 재기(才氣)가 총병하여 | + | 인계리(仁溪里) 자택에서 출생하였다. 성품은 단정하고 재기(才氣)가 총명하여 |
초년시절에 서당(書堂)에 | 초년시절에 서당(書堂)에 | ||
줄 29: | 줄 29: | ||
입문하여 질의응답에 임하자 선생이 극찬하며 특별히 대학(大學) 일부를 주어 | 입문하여 질의응답에 임하자 선생이 극찬하며 특별히 대학(大學) 일부를 주어 | ||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법을 탐구하도록 하였다. 공은 스승을 믿고 따랐으며 질의응답을 |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법을 탐구하도록 하였다. 공은 스승을 믿고 따랐으며 질의응답을 | ||
- | 통하여 법을 탐구하였다. 집은 매우 청빈(清貧)하였지만 관솔가지로 불을 밝히며 | + | 통하여 법을 탐구하였다. 집은 매우 청빈(淸貧)하였지만 관솔가지로 불을 밝히며 |
침식(寢食)을 잊기에 이르렀고 반드시 그 심오한 뜻을 탐구한 후에 그쳤다.\\ | 침식(寢食)을 잊기에 이르렀고 반드시 그 심오한 뜻을 탐구한 후에 그쳤다.\\ | ||
줄 56: | 줄 56: | ||
\_언젠가 말씀하시기를, | \_언젠가 말씀하시기를, | ||
- | 그칠 줄 모르니 그 이유는 무엇인가. 궁달(窮達)이 유명(有命)한데 | + | 그칠 줄 모르니 그 이유는 무엇인가. 궁달(窮達)이 유명(有命)한데 |
구하였으나 얻지 못하면 그만 두는 것이 옳지 않겠는가. 어찌 고생스럽게 백발(白髮)을 | 구하였으나 얻지 못하면 그만 두는 것이 옳지 않겠는가. 어찌 고생스럽게 백발(白髮)을 | ||
나부끼며 관가(官街)에 재주와 명예를 내세우려고 안간힘을 쓰며 부끄러워 할 줄 모르는가.」\\ | 나부끼며 관가(官街)에 재주와 명예를 내세우려고 안간힘을 쓰며 부끄러워 할 줄 모르는가.」\\ | ||
줄 66: | 줄 66: | ||
\_을축(乙丑)(: | \_을축(乙丑)(: | ||
- | 제례를 집전(執典)하는 여가에 | + | 제례를 집전(執典)하는 여가에 |
책으로 엮어 후손들이 가계(家系)를 알도록 하였으니 공은 선(善)으로써 | 책으로 엮어 후손들이 가계(家系)를 알도록 하였으니 공은 선(善)으로써 | ||
시종(始終)하고 하늘의 뜻을 따른 인물이라 이를 수 있다. 병술(丙戌)(: | 시종(始終)하고 하늘의 뜻을 따른 인물이라 이를 수 있다. 병술(丙戌)(: | ||
줄 94: | 줄 94: | ||
환묵(煥默)이 유사(遺事) 1(一)통을 가지고 와서 보이고 공의 생전 행장(行狀)을 부탁하였다. | 환묵(煥默)이 유사(遺事) 1(一)통을 가지고 와서 보이고 공의 생전 행장(行狀)을 부탁하였다. | ||
처음에는 사양하였으나 그 청이 유근(愈勤)하므로 이에 효심에 감복하여 유사를 | 처음에는 사양하였으나 그 청이 유근(愈勤)하므로 이에 효심에 감복하여 유사를 | ||
- | 산윤(刪潤)(: | + | 산윤(刪潤)(: |
- | \_\_병신(丙申) 소춘절(小春節) 하완(下浣)(1956(一九五六)년 10(十)월 하순) | + | \_\_병신(丙申) 소춘절(小春節) 하완(下浣)(1956(一九五六)년 10(十)월 하순)\\ |
\_\_풍산(豊山) 류승우(柳承佑) 근찬(謹撰) | \_\_풍산(豊山) 류승우(柳承佑) 근찬(謹撰) | ||
</ | </ | ||
</ | </ |
c32-031.174930375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7 22:42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