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8-021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8-021 [2025/06/06 09:02] ssio2c8-021 [2025/06/06 17:44] (현재) ssio2
줄 2: 줄 2:
 <WRAP 37em justify> <WRAP 37em justify>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_序\\ +\_**서()**\\ 
-\_始祖學士公 諱 洛께서 西紀二八年(戊子、後漢光武帝 四年、新羅  +\_시조(始祖) 학사공(學士公) 휘() 낙()께서 서기(西紀) 28년(二八年)(무자(戊子)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4년(四年)신라(新羅 
-儒理王 五年) 後漢의 使臣으로 尚書 左僕射 丘大林과 交趾國에 使臣으로 +유리왕(儒理王) 5년(五年)) 후한(後漢)의 사신(使臣)으로 상서(尚書) 좌복야(左僕射) 구대림(丘大林)과 교지국(交趾國)에 사신(使臣)으로 
-가시다가 풍랑으로 越松浦(現 月松)에 漂着하여 북쪽 산기슭에 世居의 +가시다가 풍랑으로 월송포(越松浦)(현(現) 월송(月松))에 표착(漂着)하여 북쪽 산기슭에 세거(世居)의 
-터전으로 한 오랜 由緒를 가진 宗族(이에 대한 異説이 있으나 斯界의 +터전으로 한 오랜 유서(由緒)를 가진 종족(宗族)(이에 대한 이설(異説)이 있으나 사계(斯界)의 
-硏究家 黃氏가 우리나라 歷史上 歸化의 第一號라 함)이나 高麗 末부터 +연구가(硏究家) 황씨(黃氏)가 우리나라 역사상(歷史上) 귀화(歸化)의 제1호(第一號)라 함)이나 고려(高麗) 말()부터 
-倭寇의 빈번한 노략질로 竹嶺 以南 특히 海岸은 廢墟되고 壬辰倭亂以後의  +왜구(倭寇)의 빈번한 노략질로 죽령(竹嶺) 이남(以南특히 해안(海岸)은 폐허(廢墟)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以後)의  
-兵禍는 倭寇의 노략질 보다 甚하여 祖上의 얼이 담긴 文籍 遺品은  +병화(兵禍)는 왜구(倭寇)의 노략질 보다 심()하여 조상(祖上)의 얼이 담긴 문적(文籍) 유품(遺品)은  
-焼失、亡失되는 受難에서 後孫은 咸北 永興地方 等 散地四方으로 +소실(焼失)망실(亡失)되는 수난(受難)에서 후손(後孫)은 함북(咸北) 영흥지방(永興地方) 등() 산지사방(散地四方)으로 
-흩어져서 集姓村을 이루었으나 譜牒上 迷兒는 얼마나 되는지!\\+흩어져서 집성촌(集姓村)을 이루었으나 보첩상(譜牒上) 미아(迷兒)는 얼마나 되는지!\\
  
-\_이와같은 渦中은 先系의 行跡과 同源이면서 貫을 달리하여 考證할 +\_이와같은 와중(渦中)은 선계(先系)의 행적(行跡)과 동원(同源)이면서 관()을 달리하여 고증(考證)할 
-수 없게 된 然由인가 생각된다.\\+수 없게 된 연유(然由)인가 생각된다\\
  
-\_다행히 朝鮮 中宗時 文臣인 錦溪公 俊良께서 譜史를 草譜한후 수차에  +\_다행히 조선(朝鮮) 중종시(中宗時) 문신(文臣)인 금계공(錦溪公) 준량(俊良)께서 보사(譜史)를 초보(草譜)한 후 수차에  
-修譜하고 최근 丙辰年(西紀一九七六年)에 平海黃氏大同譜를 出刊하였으나  +수보(修譜)하고 최근 병진년(丙辰年)(서기(西紀) 1976년(一九七六年))에 평해황씨대동보(平海黃氏大同譜)를 출간(出刊)하였으나  
-先系를 비롯하여 考證하여야 할 이 너무나 많은가 싶다.\\+선계(先系)를 비롯하여 고증(考證)하여야 할 이 너무나 많은가 싶다\\
  
-\_詳考하건대 漂流에서 生存하기 위한 前提條件은 自然히 유순한 위에  +\_상고(詳考)하건대 표류(漂流)에서 생존(生存)하기 위한 전제조건(前提條件)은 자연(自然)히 유순한 위에  
-사람이 아닌 微物이라도 내生命 내苦痛보다 先行하는 心性이 危機로  +사람이 아닌 미물(微物)이라도 내 생명(生命내 고통(苦痛)보다 선행(先行)하는 심성(心性)이 위기(危機)로  
-부터 살아남는 요체인 점을 많은 漂流記와 遺墟壇에 얽힌 口傳을 +부터 살아남는 요체인 점을 많은 표류기(漂流記)와 유허단(遺墟壇)에 얽힌 구전(口傳)을 
-감안할 때 우리의 始祖는 仁을 바탕한 忠孝와 落葉歸根의 生死觀을 가진  +감안할 때 우리의 시조(始祖)는 인()을 바탕한 충효(忠孝)와 낙엽귀근(落葉歸根)의 생사관(生死觀)을 가진  
-思想이 後裔에게 内部 깊숙히 遺傳子로 傳承된 宗族이기에 名望있는  +사상(思想)이 후예(後裔)에게 내부(内部깊숙히 유전자(遺傳子)로 전승(傳承)된 종족(宗族)이기에 명망(名望)있는  
-宰相 및 文武官 學者 그리고 孝子가 배출되었고 他姓들도 黃哥라 +재상(宰相및 문무관(文武官) 학자(學者그리고 효자(孝子)가 배출되었고 타성(他姓)들도 황가(黃哥)라 
-하면 賤視하지 않는 것도 先祖들의 深仁厚德과 到處 先의 陰德이  +하면 천시(賤視)하지 않는 것도 선조(先祖)들의 심인후덕(深仁厚德)과 도처(到處) 선영(塋)의 음덕(陰德)이  
-니겠는가.\\+니겠는가\\
  
-\_三綱五倫을 至上의 價로 삼았던 傳統社會에서는 祖上鞭 立庭 譜 等의  +\_삼강오륜(三綱五倫)을 지상(至上)의 가치(値)로 삼았던 전통사회(傳統社會)에서는 조상편(祖上鞭) 입정(立庭) 출보(黜) 등()의  
-應分의 措置로 共同体의 確立과 祖上을 崇拜하였으나 오늘날 +응분(應分)의 조치(措置)로 공동체(共同体)의 확립(確立)과 조상(祖上)을 숭배(崇拜)하였으나 오늘날 
-近代化 過程에서 物質重視로 祖上崇拜를 封建社會의 遺物視하거나  +근대화(近代化) 과정(過程)에서 물질중시(物質重視)로 조상숭배(祖上崇拜)를 봉건사회(封建社會)의 유물시(遺物視)하거나  
-異端視하여 先은 荒廢하고 核家族化에 따라 道德的義務로 하는 家族觀이  +이단시(異端視)하여 선영(塋)은 황폐(荒廢)하고 핵가족화(核家族化)에 따라 도덕적(道德的) 의무(義務)로 하는 가족관(家族觀)이  
-사라지고 人生旅程의 한낱 路上 行人으로 共同體 意識이란 느끼지  +사라지고 인생여정(人生旅程)의 한낱 노상(路上) 행인(行人)으로 공동체(共同體) 의식(意識)이란 느끼지  
-아니하는 時流에 故場의 規範이 되어 줄만한 뼈대있는 집안은 오늘날  +아니하는 시류(時流)에 고장(故場)의 규범(規範)이 되어 줄만한 뼈대있는 집안은 오늘날  
-자취를 감춘지 오래되어 祖上의 行跡 到處의 先瑩 行列等은 無關心하고  +자취를 감춘지 오래되어 조상(祖上)의 행적(行跡) 도처(到處)의 선영(塋) 항렬(行列) 등()은 무관심(無關心)하고  
-또한 生業을 위하여 轉轉하는 此際에 다음 世代는 어떤 思考를  +또한 생업(生業)을 위하여 전전(轉轉)하는 차제(此際)에 다음 세대(世代)는 어떤 사고(思考)를  
-가질지 熟考 끝에 直系 以外 傍系는 事由를 省略하고 派譜를  +가질지 숙고(熟考끝에 직계(直系) 이외(以外) 방계(傍系)는 사유(事由)를 생략(省略)하고 파보(派譜)를  
-出刊하였으나 厖大한 宗牒을 혼자서 編輯하니 未盡함을 禁할 수 없다.\\+출간(出刊)하였으나 방대(厖大)한 종첩(宗牒)을 혼자서 편집(編輯)하니 미진(未盡)함을 금()할 수 없다\\
  
-\_다만 바라는 것은 後孫에게 祖上으로써 禮遇를 받고 싶거든 祖上을 +\_다만 바라는 것은 후손(後孫)에게 조상(祖上)으로써 예우(禮遇)를 받고 싶거든 조상(祖上)을 
-위하라는 平凡한 眞理를 남기고져 하며 아울러 祖上의 美風을 繼承發展시켜  +위하라는 평범(平凡)한 진리(眞理)를 남기고져 하며 아울러 조상(祖上)의 미풍(美風)을 계승발전(繼承發展)시켜  
-黃門을 빛내고 이 나라의 棟樑材가 많이 나오기를 祈求한다.\\ +황문(黃門)을 빛내고 이 나라의 동량재(棟樑材)가 많이 나오기를 기구(祈求)한다\\ 
-\_\_西紀 一九九四(甲戌)年 六月 六日 胄孫 昞龍+\_\_서기(西紀) 1994(一九九四)(갑술(甲戌))년() 6월(六月) 6일(六日) 주손(胄孫) 병룡(昞龍)
 </typo> </typo>
 </WRAP> </WRAP>
  
  
c8-021.174916817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6 09:02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