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8-02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8-022 [2025/06/06 11:00] – ssio2 | c8-022 [2025/06/06 19:12] (현재) – ssio2 | ||
---|---|---|---|
줄 1: | 줄 1: | ||
===세보총편(世譜總編)=== | ===세보총편(世譜總編)=== | ||
- | < | + | < |
<typo ff:' | <typo ff:' | ||
\_**平海黃氏世譜**\\ | \_**平海黃氏世譜**\\ | ||
- | **平海郡**< | + | **平海郡**< |
- | 陽郡界五十一里北至蔚珍界三十八里距京六百六十里</ | + | |
\_改今名爲郡顯宗時屬禮州明宗二年置監務忠烈王時以縣人黃瑞從王人元\\ | \_改今名爲郡顯宗時屬禮州明宗二年置監務忠烈王時以縣人黃瑞從王人元\\ | ||
\_有翊戴功陞縣爲郡\\ | \_有翊戴功陞縣爲郡\\ | ||
- | \_本朝因之官員郡守 | + | \_本朝因之官員郡守\\ |
\\ | \\ | ||
\_始祖\\ | \_始祖\\ | ||
줄 16: | 줄 15: | ||
\_古三兄弟而甲古爲其城君乙古爲長水君丙古爲昌原伯盖郡誌所記出於諺\\ | \_古三兄弟而甲古爲其城君乙古爲長水君丙古爲昌原伯盖郡誌所記出於諺\\ | ||
\_傳古史詳其年紀姓諱職名此爲信蹟而但學士之稱漢朝無之意古者文學之\\ | \_傳古史詳其年紀姓諱職名此爲信蹟而但學士之稱漢朝無之意古者文學之\\ | ||
- | \_士謂之學士而因爲稱號耶粵舊譜用此爲信蹟而猶有起疑耳應教草谷公黃\\ | + | \_士謂之學士而因爲稱號耶粵舊譜用此爲信蹟而猶有起疑耳應敎草谷公黃\\ |
\_啓沃家牒云唐高宗龍朔八年新羅文武王八年戊辰公與唐將李世勣同人東\\ | \_啓沃家牒云唐高宗龍朔八年新羅文武王八年戊辰公與唐將李世勣同人東\\ | ||
- | \_國公即李世勣之婿也公因居穢國箕南海岸今為其城縣子孫居焉公為國學\\ | + | \_國公即李世勣之婿也公因居穢國箕南海岸今爲其城縣子孫居焉公為國學\\ |
- | \_進士< | + | \_進士< |
- | \_之且此則子孫家世傳也似是信蹟而可信無疑也自上世築壇遺墟歲歲十\\ | + | \_之且此則子孫家世傳也似是信蹟而可信無疑也\_自上世築壇遺墟歲歲十\\ |
- | \_月中丁士庶諸孫齊會祭祀其祝文曰肇貫箕鄉宗祖百世壇場有儼報賽無怠\\ | + | \_月中丁士庶諸孫齊會祭祀其祝文曰肇貫箕鄉宗祖百世壇塲有儼報賽無怠\\ |
- | \_壇所古無碑且無祭田崇禎後再甲戌豐基平海清安宗人建議立碑置田○改\\ | + | \_壇所古無碑且無祭田崇禎後再甲戌豐基平海淸安宗人建議立碑置田〇改\\ |
- | \_祝文曰 皇祖考漢學士府君伏以中朝玉佩桴海而東克開克昌萬世為宗霜\\ | + | \_祝文曰\_皇祖考漢學士府君伏以中朝玉佩桴海而東克開克昌萬世爲宗霜\\ |
- | \_露悽愴感慕哭窮謹以清酌庶羞祗薦歲事皇祖妣附食尚\_饗\\ | + | \_露悽愴感慕深窮謹以淸酌庶羞祗薦歲事皇祖妣附食尚\_饗\\ |
\_瑞豐城到綾羅德博爆點點和輕媽壞性类 | \_瑞豐城到綾羅德博爆點點和輕媽壞性类 | ||
</ | </ | ||
줄 32: | 줄 31: | ||
<typo ff:' | <typo ff:' | ||
\_**평해황씨세보**\\ | \_**평해황씨세보**\\ | ||
- | \_**평해군(平海郡)**동으로 海岸에 이르기 까지 七里이고 남으로 경상북도 영덕 郡界에 이르기 까지 二十四里요 서쪽으로 영양 | + | \_**평해군(平海郡)**< |
- | 郡界에 이르기 까지 五十一里요 북으로 울진 군계에 이르기 까지 三十八里요 京都에 | + | 군계(郡界)에 이르기 까지 |
+ | 본래는 고구려 척을(斥乙)이었는데 고려 초기에 지금 이름으로 고치어 군(郡)으로 하였다. 현종 때 예주(禮州)에 귀속 시키었고 명종 2(二)년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 때 고을사람 황서(黃瑞)가 왕을 쫓아 원나라에 들어가 익대공신이 된 일이 있어서 현을 승격하여 군으로 하였다.\\ | ||
- | 본래는 고구려 척을(斥乙)이었는데 고려 초기에 | + | \_본조(本朝)에서 그로 인해 군수의 관원을 두었다.\\ |
- | 본조(本朝)에서 그대로 인해 군수의 | + | \\ |
+ | \_시조\\ | ||
+ | **황낙(黃洛)**\\ | ||
+ | \_평해지(平海誌)에 말하기를 신라조에 황장군(黃將軍)과 구장군(丘將軍)이라고 일컬은 사람이 | ||
+ | 있었으니 동해로 배를 타고 월송(越松)으로 | ||
+ | 살았는데 산을 만들어 결함이 있는 곳을 보충하였으니 세상에서 전하기를 황장군이 만든 것이라고 | ||
+ | 한다. 대개 | ||
+ | 를 상고하면 이르기를 한나라 광무황제 건무(建武) 4(四)년에 학사 황낙(黃洛)과 구공(丘公) | ||
+ | 대림(大林)이 동국에 처음 거주하였으니 후세에 갑고(甲古) 을고(乙古) 병고(丙古) 삼형제가 있었는데 | ||
+ | 갑고는 기성군이 되었고 | ||
+ | 이것은 대개 군지에 기록한 것에서 | ||
+ | 자상히 기록되었으니 이것이 믿을만한 사적이나 다만 학자라고 칭한 것이 한조(漢朝)에는 | ||
+ | 없었으니, | ||
+ | 것인가. 지나간 구보(舊譜)에서는 이것을 신적(信蹟)으로 하였으나 오리려 의심을 일으키고 | ||
+ | 있기도 하다.\\ | ||
+ | |||
+ | \_응교 초곡공 황계옥(黃啓沃) 가첩에 이르기를 당나라 고종 용삭(龍朔) 8(八)년을 신라 문무왕 | ||
+ | 8(八)년 무진이니 공이 당나라 장수 이세적(李世勣)과 더불어 같이 동국(東國)에 들어왔는데 공은 | ||
+ | 즉 이세적의 사위이다. 공이 인해 예국(穢國) 기남(箕南) 바닷가에 거주하였으니 지금 | ||
+ | 기성현이다.\\ | ||
- | 평해지(平海誌)에 말하기를 신라조에 황장군(黃將軍)과 구장군(丘將軍)이라고 일컬은 사람이 | + | \_자손이 이곳에 살았고 공은 국학진사(國學進士)가 되었다. |
- | 있었으니 동해로 배를 타고 월송(越松)으로 와서 굴산(崛山)동쪽 언덕의 동쪽가 사안(沙岸)에 | + | 연기와 성휘와 직명을 역시 |
- | 살었는데 산을 만들어 결합이 있는 곳을 보충하였으니 세상에서 전하기를 황장군이 만든것이라 | + | 또 이것은 자손의 집에서 |
- | 고 한다. 대개 고을 사람으로서 성을 황씨로 하는자는 다 이분을 비조로 하였다. 또 고사(故事) | + | 의심할 것이 없다.\\ |
- | 를 상고하면 이르기를 한나라 광무황제 건무(建武)四년에 학사 황락(黄洛)과 구공 대림(丘公大 | + | |
- | 林)이 동국에 처음 거주하였으니 후세에 잡고(甲古) 을고(乙古) 병고(丙古)삼형제가 있었는데 | + | |
- | 갑고는 기성군이 되었고 을고는 장수군이 되었으며 병고는 창원백이 되었다고 기록되었는데 이 | + | |
- | 것은 대개 근지에 기록한것에서 나왔고 고사에는 | + | |
- | 자상히 기록되었으니 이것이 믿을만한 | + | |
- | 었으니 생각하건대 옛사람들이 문학을 하는 선비를 학사라고 이르는 까닭에 인해 칭호를 한것 | + | |
- | 인가 지나간 구보(舊譜)에서는 이것을 신적(信蹟)으로 하였으나 오리려 의심을 일으키고 있기 | + | |
- | 도 하다. | + | |
- | 응교 초곡공 황계옥(黃啟沃)가첩에 이르기를 당나라 고종 용삭(龍朔) 八년을 신라 문무왕 시 | + | |
- | 년 무진이니 공이 당나라 장수 이세적(李世勣)과 더불어 같이 동국(東國)에 들어왔는데 공은 | + | |
- | 즉 이세적의 사위이다. | + | |
- | 다. | + | |
- | 가운데 | + | \_상세(上世)로 부터 유허(遺墟)(: < |
- | 정일 | + | 중정(中丁)(: < |
- | 자손이 이곳에 살았고 공은 극학진사(國學進士)가 되었다. 는 즉 江陵이요 莫는 즉 임 응교공 가첩에 그 | + | 「처음 |
- | 년기와 성휘와 직명을 역시 자상히 기록되었는데 학사의 직함은 당조(唐朝)에 비로소 있었다. | + | 단소에 옛날에는 비석도 없고 제전(祭奠)도 |
- | 또 이것은 자손의 집에서 대대로 전해오는 것이다. 이것이 신적(信蹟)인것 같으니 가히 믿어 | + | 없었는데 숭정(崇禎) 재 갑술년에 풍기 평해 청안에 사는 종인(宗人)이 건의(建議)하야여 비를 |
- | 의심할거싱 없다. | + | 세우고 밭을 마련하였다. |
- | 선조가 | + | 〇축문을 고쳐 가로대 |
- | 상세(上世)로 부터 유허(遺墟: | + | |
- | 대)에 여러 자손들이 모두 모이어 | + | |
- | 본관으로 하시어 백대의 종조(宗祖: | + | |
- | 처음 기향(箕鄉)을 | + | |
- | 것이나 즉시란 뜻)가 되시었읍니다. 단장(壇場)이 엄연히 있 | + | |
- | 어 보답함을 게을리 함이 없아옵니다」라고 하였다. 단소에 옛날에는 비석도 없고 제전(祭奠)도 | + | |
- | 없었는데 숭정(崇禎)재 갑술년에 풍기 평해 청안에 사는 종인(宗人)이 건의(建議)하야 비를 | + | |
- | 우고 밭을 마련하였다.○축문을 고치어 | + | |
- | 그려 생각하옵건대 중국조정의 옥을 찬 관인(官人)으로 바다를 건너 동방으로 오시어 능히 기 | + | |
- | 초를 개척하시고 능히 자손이 번창하게 하시어 만대의 종조(宗祖)가 되시었읍니다. 서리와 이 | + | |
- | 슬이 내리어 서글프고 슬프오니 감동하여 사모하는 마음 끝이 없어옵니다. 삼가 맑은 | + | |
- | 러가지 음식으로 공경히 세사(歲事: | + | |
- | 하시기를 원하옵니다. | + | |
- | 平海黃氏忠敬公曾孫賛成公派譜 | + | |
- | 그 | + | |
</ | </ | ||
</ | </ | ||
c8-022.174917521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6 11:00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