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희구재기(喜懼齋記)
희구재(喜懼齋) 기(記)
군(郡) 북(北)쪽에 한 집이 있으니 지명(地名)은 사동(沙銅)이라 이름을 해월선생(海月先生)의 구지(舊址)라. 이제 그
후손(後孫)들이 그 집을 지키고 있으니 어질고 효(孝)한 자라 내가 오래 이 군(郡)에 있어 그
행실(行實)이 다하고 또 일찍이 그 문(門)을 재조(再造)한 것은 유인(有仁) 지친(之親)에 있음이라. 연령(年令)
83(八十有三歲)이며 유인(有仁)의 연령(年令)도 또한 60(六十)을 지나 3년(三年)이 경과(經過)한 지라. 모발(毛髮)이 백설(白雪)이
분분(紛紛)하고 치근(齒根)이 3~4개(三四個) 밖에 남지 않고 그 모골(貌骨)이 상접(相接)하여 엄호(掩護)하기를 영아(嬰兒)
같이하여 항상(恒常) 옆에 있으니 누우나 일어날 적에는 반드시 의복(衣服)을 정돈(整頓)하고 이농기(耳聾氣)가 있어
언어(言語)가 불통(不通)할 때는 반드시 옆에서 붓으로 말을 대신해서 전달(傳達)해
주시고 혹(或) 명가(命駕)하실 적엔 반드시 몸을 쩌들어 마상(馬上)에 부측(扶側)하고 또 뒤에 수행(隨行)을
하여 집까지 보호(保護)하다. 집이 본래(本來) 빈한(貧寒)해서 봉양(奉養)의 범절(凡節)이 다하지 못하면 반드시
양잠(養蚕)을 하여 명주를 짜고 양계(養鶏) 양돈(養豚)을 하여 고기를 대접(待接)하고 농사(農事)을 지어 음식(飮食)을
공양(供養)하니 맛이 입에 맞을 수가 없고 옷이 완전(完全)한 것이 있을 수 없으나 그 어버이
보양(保養)하는 데는 극(極)히 풍후(豊厚)했다. 슬프다. 만약(萬若) 사람들이 다 이 사람과 같으면
효자(孝子)가 딴데 있으랴. 일찍 군내(郡內) 인사(人士)들을 접(接)하면 모두 말하기를 아무개의 효의(孝誼)는
나이 겨우 8세(八歲) 때 모부인(母夫人)과 같이 길을 가다가 홀연(忽然) 미친개가 나타나 모(母)의 발
뒤꿈치를 물었을 적에 어머니를 껴안고 슬피 울며 그 개가 문 자리를 입으로
빨고 그 개를 꾸짖으니 그 개는 곧 죽고 개에 물린 자리도 곧 나았다. 15세(十五歲) 시(時)에
어머니가 병이 들어 임종시(臨終時) 단지주혈(斷指注血)하여 명(命)을 연명(延命)한 사실(事實)이 있었다. 슬프다.
만약(萬若) 사람들이 누구든지 이와 같으면 대인(大人)이 안될 수가 없다. 당소(倘所)에 이르대
靈芝는 根本이 있고 醴泉은 根源이 있다는 것은 미더이 하지 않을 수 없다.
내가 鮮春期郡家에 있을 적에 높이 솟아 있는 雲嶺은 實想 좋은 물가에 桐栢이
있는 것을 感想한것과 같해서 써 한글로 相報해 가로대 내가 간절히 夫子의 喜懼의
訓戒를 취하여 써 吾親이 居한 집에 揭示하니 자내가 내의 記를 달어주게 나는
들어보니 더 恭敬한 것이 감히 그 청하는데 외롭지 않이한것보다 낫다. 얼마前에
내가 宣城을 지낼적에 陶山書院에 拜竭한 적이 있는데 院의 西쪽 시내위를 보니
한 높은 마루위 문방사이게 扁이나 써였으니 이는 곳 聾隱 李先生의 집이라 先生
또한 일즉이 居하시는 곳이다. 대개 恒常 그 눈에 있다 써 終身이 되도록 정성껏
奉養한 뜻을 이러대 자내외 命名이 또한 그 義라 이르므로 記錄한 것이 또한
올치 않을까 억별히 또한 人子를 爲해 노친 반덤이로다 남의 어버이를 親히 한者는
남도 그 親을 사랑하고 남의 兄을 恭敬한 者는 남도 그 兄을 恭敬하나니 지금
자내의 堂에 간절히 깊이 祝賀하는 바이다. 願컨대 자내는 子孫이 갖자라고
家庭이 和睦해서 歲歲年年에 이 樂이 恒常 亨有하야 그 가히 두른 한 者는다
없게하고 길건者는 無盡한적 天下의 樂이었지 이보다 더 날 수가 있으며 어찌
이에 더 할 수 있겠는가 드디어 글로서 드리노라.
歲辛酉五月日前知郡事權唆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