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소오재황응명행장략(少梧齋黃應明行狀略)
초보서
소오재 황응명 행장략
공의 성은 黃이오 휘는 應明이오 자는 昌世인데 계출이 평해라 少梧는 그의 호이다.黃氏는 신라때에 學士公께서 동
으로 오심에 인하야 세가가 동해안의 평해이라 그간 세세로 큰 선비와 덕망이 높은분이 많았으며 贊成공의 공훈과 업적
과 더불어 愛慕공의 출천지효는 더욱 빛나 세인의 우러러 망족으로 나타남이요 공이 생함에 총명할뿐더러 지혜가 범아
와 다르더니 차차 장성함에는 착한중심이 옥에다 수를 노은듯 다를바 없더니 문장기법이 날로 넉넉창성함에 비할 바없
는 박학달사더라 몸가짐이 단정고직하여 행의가 엄숙하고 효성과 우애가 지성하며 가솔을 다스림에 돈목으로서 조이하
며 종족에 있어는 더욱 힘을 다하며 남을 대할때나 사물을 접함에는 예도로써 응하며 남에게 허물이 있을때에는 그말을
하지않고 의범으로써 대하고 남의 착함을 들을때에는 헛되게 하지않고 찬성으로써 자기의 본을 삼음이라 이해득실에 있
어서는 남을 먼저하고 나를 뒤로하며 남을 언제나 먼저 편히 하니 항시 당신은 구혁을 면치 못하더라 언제나 힘을 다함
은 역시 많은 사람들에게 미치는 덕이더라 행신이 항상 이러함이니 후세까지도 그의 칭송이 전함이라 만년에 오곡의 월
연산 밑에 초가를 짓고 少梧齋라 현판을 달고 마을의 가제를 모아 사람의 도리를 가르치며 장차 늙어감을 알지못하고
간혹 손님이나 벗을 맞이하여 詩를 짓고 술을마시며 즐기고 매번 도연명의 歸去來辭를 외우고 樂夫天命이란 四字를 일
생동안 연구하고 세상에 벼슬하는 것을 즐기지 아니하고 사람들이 알아주는 것도 구하지 아니하여 행실과 덕을 숨기며
나의 도리를 다할뿐이라하는 연고로 당세에 아는이는 많치 않았으나 한됨은 없었다. 향년 八十二로 생을 마치니 이의
덕망과 행의가 널리 알려짐에 추후로 나라에서 증직함에 가선대부를 제수니라 오호라 선함이 유하고 은사로 문학이 유
여하나 겸손함을 다하니 우리의 인생사에도 의가 현세에 몰락하여 민망함을 금할바없는 이시점에 공과 같은이는 참으로
가히 돈독한 행위군자리라 옛날 大海 海月 양선생의 문장덕행으로써 한세대를 중히하시더니 공이 종중에 후생으로서 선
대에 끼친 향기를 잘 이어나가고 있으니 이것은 공자가 말씀한 노나라에 군자가 없으니 이는 성심열의로 도를 닦음의
노력으로 얻어지는 바이라 하더니 진실로 공을 이름인가 함이라 七세손 一河씨가 산중의 나를 찾아와 말하되 선조의 행
장기를 후세에 남기기를 구함이라 하며 열심히 간청커늘 나는 그만한 장문의 글에 미치지 못함에 아니됨을 고집이나 그
의 집념이 공의 사적이 평해향현록에 재재하여 전송함이 동산행의라 공의 적덕행의가 이러하니 百세의 후에라도 한퇴지
같은 문장이 지어줄것인데 어찌 나 같이 고루한자에 부탁하는가? 그러나 호선지이는 원리가 없음은 점하노라 공의 행
덕사실을 략하여 기술인바나 느낌이 우와같음이라.
한양 趙秉雲 근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