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8-002

신천정기(新川亭記)

新川亭記
高道山淸新秀聳有似乎高人道流一支南迤此崎而爲飛鳳與高道相對若賓主然自此而向南低垂結而爲巒衍而爲野水自飛鳳而出與高道兩水相會於野迱山穿峽三十里而達于洛江盖其地勢外窈而中寬宅幽而向明允合碩人衡泌之所也有洞曰五佳徃昔新川黃公自淸安移卜于此拓荒而新之故亦名新里云爾公明陵時人遙遙數百載文籍蕩然無由考得其心法事行然五佳之下法坊之原有公廬墓舊址而譜牒載虎守廬外之言其至孝如此則細行疎節推可以想仰矣愷雅恁恬介嘅黨論傾軋之禍而高擧深入爲潔身遺安之謨耶五佳之傍有岩焉掌平而畝廣盖公登眺嘯傲之所而蕪沒已屢世雲仍諸公慨然起慕徃年壬戌旣搆數間茅以寓羮墻而備家塾矣惟其規模欠完易致滲敗肆於乙亥春協謀鳩材撤舊改新爲制中堂而兩室前楹而軒之界岩鑿沼可畜魚而種蓮也松逕花塢曲有意態山嵐呈畵野水鋪練盖不離閭閻咫尺之地而超豁幽爽之趣備矣榜之曰新川亭翌年春公後孫學周永根問記於不佞窈惟山川景物之美覽者當自得之無事乎記而獨新川之義有未易言者地旣號新里則川之名新固也公之自署其或因川名歟抑又思之湯盤寓進學之意而有日新之銘魯論嘆不息之玅而有逝川之訓夫日新與不息而問學之道得矣公盖有見於此而特署爲潛修進德之勉歟今亭旣新矣遊斯亭者思所以日新其心仰楣扁而新繼述之道敦宗族而新友睦之行俛焉孜孜愈久而不息焉則將見門闌之日新而萬祥之川至矣諸君子其勉矣夫
  丙子春三月 永嘉權相圭謹記

영가(永嘉):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의 옛 이름. “두 이(二)” 아래 “물 수(水)”자로 이루어진 “길 영(永)”이, “아름다울 가(嘉)”와 합해 “두 물이 아름다운 곳”이란 뜻이다. 두 물줄기는 물야탄(勿也灘)과 반변천(半邊川)이다. (자료: 안동물문화관).
권상규(權相圭): 1874년(고종 11) 8월 25일∼1961년 7월 23일. 조선 말기 의병. 자는 치삼(致三)이고 호는 채산(蔡山)‧인암(忍庵)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충재(沖齋) 권벌(權橃)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권재화(權載華), 조부는 권진하(權鎭夏)이며, 부친은 의병장 권세연(權世淵)이다. 외조부는 이문직(李文稷)이고, 처부는 박심수(朴尋洙)이다.
면우(勉宇) 곽종석(郭鍾錫), 가산(柯山) 김형모(金瀅模) 등과 교유하였다.
을미사변 때 의병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으며, 1896년(건양 1)에 다시 의병을 일으켜 활동하였다. 경술국치 이후로 세상과 인연을 끊고 동서양의 역사를 탐독하여 당시의 국제 정세를 파악했다.
무덤은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 물야면(物野面) 동막(東幕)에 있다.
문집으로 『인암집(忍庵集)』 24권 12책이 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c8-002.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5 07:28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