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001
경위도 좌표 확인 방법
휴대폰 설정 방법
- 휴대폰의 '설정'에서 '위치 정보'를 '사용'으로 설정
(내비게이션 등을 사용한다면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임) - 휴대폰 '카메라' 앱에서 역시 '위치 정보'를 '사용'으로 설정
- 이후 사진을 찍을 때는 항상 '위치 정보'가 자동읋 사진에 포함됨
확인 방법 1
- '갤러리' 앱에서 해당 사진을 선택하여 뛰우고,
- 세부방법 1
- 화면을 위로 쓸어올림
- 화면의 지도를 탭
(지도가 나오지 않으면 위치 정보가 없는 것임) - 세부방법 2
- 화면 위 오른쪽에 '더보기'를 클릭
- '위치 정보' 클릭
'지도에 표시' 클릭 - 화면 아래에 주소와 좌표가 표시됨
확인 방법 2
- PC에서 사진을 뛰우고 (Google 포토 이용을 기준으로 설명함),
- 오른쪽 위 (i)를 클릭,
- 오른쪽에 정보가 나오고, 지도가 보임
- 이 지도를 클릭하면, 왼쪽에 경위도 좌표와 십진 좌표가 나옴
- (혹시 보내고 싶으면, '공유'에서 '링크 보내기'⇒'링크 복사'를 하면 됨)
지도에서 보는 방법
- 네이버 지도 또는 구글 지도의 검색창에 경위도 좌표를 복사하여 그대로 넣어 주면 됨
- 참고로 구글 지도에서는 경위도 좌표(도분초 및 십진수)를 다 보여주나, \\네이버 지도에서는 좌표를 알기도, 보여주지도 않음
참고 사항
- 사진을 찍을 때 촬영 대상의 명칭을 적은 종이를 찍으면 나중에 구별 및 확인이 쉬움
(예: 5대조 '길동' 묘소) - 현재 야외에서의 '위치 정보'의 오차는 수m 이내로 매우 정확함. 따라서 묘(봉분) '위'에서 찍은 것과 묘(봉분) '앞'에서 찍은 것은 상당한(!) 오차가 생김
- 좌표의 표시는 보통 2가지임. 우리가 아는 도분초(위도 36°22'59.8“N) 또는 TM좌표(36.383274)임 (표기를 간단히 하기 위하여 TM좌표를 권고함)
x-001.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15 08:45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