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100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a-100 [2025/05/21 08:57] ssio2a-100 [2025/05/28 07:31] (현재) ssio2
줄 15: 줄 15:
 滄月이 映輝에 照林八角之墟하니 周道如砥에 其直如失라 立於禮하고 成於樂하니  滄月이 映輝에 照林八角之墟하니 周道如砥에 其直如失라 立於禮하고 成於樂하니 
 永世進修之誠은 百世不忘키로 顚末載之云爾\\ 永世進修之誠은 百世不忘키로 顚末載之云爾\\
-\_\_一九七六年 丙辰 小春節 裔孫 潤範 盥手 謹\\+\_\_一九七六年 丙辰 小春節 裔孫 潤範 盥手 謹\\
 </typo> </typo>
 </hidden> </hidden>
줄 24: 줄 24:
 풍조가 점차로 아름답고 밝은데 이르게 되어서 가문의 역사와 나라의 역사에 의심되는 것도 풍조가 점차로 아름답고 밝은데 이르게 되어서 가문의 역사와 나라의 역사에 의심되는 것도
 있고 믿을 만한 것도 있다.\\ 있고 믿을 만한 것도 있다.\\
-\_그래서 만성씨족고(萬姓氏族攷)와 청구보실록(邱譜實錄)을 상고해 본즉 황제(黃帝)씨 이하로 황씨의 관적(貫籍)이 184(一八四) 관(貫)행이 중국의 강하(江夏)에서 그 계통이 나왔다고+\_그래서 만성씨족고(萬姓氏族攷)와 청구보실록(邱譜實錄)을 상고해 본즉 황제(黃帝)씨 이하로 황씨의 관적(貫籍)이 184(一八四) 관(貫)행이 중국의 강하(江夏)에서 그 계통이 나왔다고
 하여 한편에서는 말하기를 전욱(顓頊) 고양(高陽)씨 후 육종(陸終)이란 사람이 황(黃)에 하여 한편에서는 말하기를 전욱(顓頊) 고양(高陽)씨 후 육종(陸終)이란 사람이 황(黃)에
 봉(封)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씨(氏)로 삼았다고 전하고 휘 낙(洛)은 관직이 학사(學士) 봉(封)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씨(氏)로 삼았다고 전하고 휘 낙(洛)은 관직이 학사(學士)
 였다고 했다.\\ 였다고 했다.\\
-\_한(漢)나라 광무(光武)제 건무(建武)년간 (二五~五五)에 한나라 상서(書) 벼슬을 하던+\_한(漢)나라 광무(光武)제 건무(建武)년간 (25(二五55(五五))에 한나라 상서(書) 벼슬을 하던
 구대림(丘大林)과 더불어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월송리(越松里)에 이르렀는데 이때가 신라 구대림(丘大林)과 더불어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월송리(越松里)에 이르렀는데 이때가 신라
 남해왕(南海王)때라고 말하니 이것이 비록 선조(先祖)에서 발견하지 못한 일이기는 하나 남해왕(南海王)때라고 말하니 이것이 비록 선조(先祖)에서 발견하지 못한 일이기는 하나
줄 38: 줄 38:
 돌에는 이끼가 돋았으니 후손된 도리에 송구스러운 마음이 더할 수가 없다.\\ 돌에는 이끼가 돋았으니 후손된 도리에 송구스러운 마음이 더할 수가 없다.\\
 \_이제 금번 을묘년(一九七五)에 종회(宗會)의 의논이 일치하여 거듭 옥돌에 새길 것을 \_이제 금번 을묘년(一九七五)에 종회(宗會)의 의논이 일치하여 거듭 옥돌에 새길 것을
-동의함에 비를 새워 기성(箕城君) 휘 갑고(甲古)와 태자검교공(太子檢校公) 휘 온인(溫仁)과+동의함에 비를 새워 기성(箕城君) 휘 갑고(甲古)와 태자검교공(太子檢校公) 휘 온인(溫仁)과
 군기소윤공(軍器少尹公) 휘 우정(佑精) 문하시중(門下侍中公) 휘 유중(裕中)의 위(位)에 군기소윤공(軍器少尹公) 휘 우정(佑精) 문하시중(門下侍中公) 휘 유중(裕中)의 위(位)에
 차례대로 나열 하여 향화(香火)를 받들고 재실을 구축하고 설단(設壇)을 보위(保衛)하였으니 차례대로 나열 하여 향화(香火)를 받들고 재실을 구축하고 설단(設壇)을 보위(保衛)하였으니
a-100.174778547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1 08:5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