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5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b-054 [2025/05/30 19:07] – ssio2 | b-054 [2025/06/01 20:01] (현재) – ssio2 | ||
---|---|---|---|
줄 1: | 줄 1: | ||
===해헌황명하행장략(懈軒黃命河行狀略)=== | ===해헌황명하행장략(懈軒黃命河行狀略)=== | ||
<WRAP 37em justify>< | <WRAP 37em justify>< | ||
- | <typo ff:' | + | <typo ff:' |
\_**懈軒黃命河行狀略**\\ | \_**懈軒黃命河行狀略**\\ | ||
公諱命河字子潤號懈軒平海人中世有諱瑞翊戴元勳諡文節人國\_朝諱 | 公諱命河字子潤號懈軒平海人中世有諱瑞翊戴元勳諡文節人國\_朝諱 | ||
줄 7: | 줄 7: | ||
通政考諱石建通德郞妣安東權氏是經之女大司成悰之后以\_寧陵辛卯 | 通政考諱石建通德郞妣安東權氏是經之女大司成悰之后以\_寧陵辛卯 | ||
三月二十二日生公干溫溪里第禀姿穎悟年甫七八歲愛學於家庭有聞輒 | 三月二十二日生公干溫溪里第禀姿穎悟年甫七八歲愛學於家庭有聞輒 | ||
- | 誦出語焉驚人小宰姜公錫圭時謫本郡一見以汝南顏子稱之公仍講究經 | + | 誦出語焉驚人小宰姜公錫圭時謫本郡一見以汝南顔子稱之公仍講究經 |
藉琢磨鉛槧於文無不能而西坡吳公道一以文章司命見公製大加奬詡又 | 藉琢磨鉛槧於文無不能而西坡吳公道一以文章司命見公製大加奬詡又 | ||
從與之洛閩諸書靡不評討而惟時名公鉅卿樂與唱酬者如東里李公殷相 | 從與之洛閩諸書靡不評討而惟時名公鉅卿樂與唱酬者如東里李公殷相 | ||
줄 15: | 줄 15: | ||
閭矜式於後學足以有爲於需世而落拓激昴乃輯國朝故事七卷帖退陶先 | 閭矜式於後學足以有爲於需世而落拓激昴乃輯國朝故事七卷帖退陶先 | ||
生贈錦溪先生手筆盥薇莊玩以寓其尊賢之誠而適値歲札私賑百五十斛 | 生贈錦溪先生手筆盥薇莊玩以寓其尊賢之誠而適値歲札私賑百五十斛 | ||
- | 營邑奬褒朝廷特下崇資而累辞\_天官御史吳命峻又薦公以文學行義之 | + | 營邑奬褒朝廷特下崇資而累辭\_天官御史吳命峻又薦公以文學行義之 |
卓異啓聞于\_朝特除寢郞云云退築霞亭頤養溪堂亭是泉石而堂即奬學 | 卓異啓聞于\_朝特除寢郞云云退築霞亭頤養溪堂亭是泉石而堂即奬學 | ||
之所也丕變山水之窟蔚爲文獻之方歲乙未正月十一日考終于寢享年六 | 之所也丕變山水之窟蔚爲文獻之方歲乙未正月十一日考終于寢享年六 | ||
十五嗚呼平日遺什及諸賢文字幷付欝攸公之曾孫琰懼其嘉範懿蹟愈久 | 十五嗚呼平日遺什及諸賢文字幷付欝攸公之曾孫琰懼其嘉範懿蹟愈久 | ||
- | 而愈泯屬不佞而撰次馬余以末學倍切山仰之感况世誼旣篤不可以非人 | + | 而愈泯屬不佞而撰次焉余以末學倍切山仰之感况世誼旣篤不可以非人 |
- | 辞謹受而撮其志學之實篤行義之謹勅以竢後立言君子云爾\\ | + | 辭謹受而撮其志學之實篤行義之謹勅以竢後立言君子云爾\\ |
\_\_聾窩李亨祿謹狀 | \_\_聾窩李亨祿謹狀 | ||
</ | </ | ||
줄 47: | 줄 47: | ||
\_소재(小宰) 강공(姜公) 석규(錫圭)가 본군에 와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을 때에 | \_소재(小宰) 강공(姜公) 석규(錫圭)가 본군에 와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을 때에 | ||
- | 공을 한 번 보고 여남(汝南)의 안자(顏子)顔라고 칭찬했다.\\ | + | 공을 한 번 보고 여남(汝南)의 안자(顔子)라고 칭찬했다.\\ |
\_그리하여 공이 경전(經傳)과 사적(史籍) 등을 강구(講究)하고 재능을 갈고 닦아 | \_그리하여 공이 경전(經傳)과 사적(史籍) 등을 강구(講究)하고 재능을 갈고 닦아 |
b-054.174859967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30 19:0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