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125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125 [2025/06/04 20:46] ssio2b-125 [2025/06/07 07:17] (현재) ssio2
줄 37: 줄 37:
 <typo ff:'바탕'; fs:1em; lh:1.5em> <typo ff:'바탕'; fs:1em; lh:1.5em>
 \_**정명촌기(正明村記)**\\ \_**정명촌기(正明村記)**\\
-\_\_\_\_이산해(李山海)\\+\_\_\_\_이산해(李山海)<sup>주1</sup>\\
 \_정명촌(正明村)은 월송정(月松亭)의 북쪽으로 15리(十五里)되는 곳에 있는데  \_정명촌(正明村)은 월송정(月松亭)의 북쪽으로 15리(十五里)되는 곳에 있는데 
 기이(奇異)한 산봉우리나 높고 험한 고개도 없고 큰 평야(平野)도 없으며  기이(奇異)한 산봉우리나 높고 험한 고개도 없고 큰 평야(平野)도 없으며 
줄 127: 줄 127:
 부임(赴任)하지 않았다.\\ 부임(赴任)하지 않았다.\\
 \\ \\
 +<WRAP subnote>
 주1. 이산해(李山海): 자(字)는 여수(汝受). 호(號)는 아계(鵝溪). 명종(明宗) 때에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응교(應敎)를 비롯하여 이조좌랑(吏曹左郞)을 거쳐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오르고 이조판서(吏曹判書),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뒤 우의정(右議政)이 되었다. 그후 북인(北人)의 영수(領首)로서 좌의정(左議政)이 되어 이어 영의정(領議政)이 되었으나 탄핵을 받고 사임했다. 선조(宣祖)가 죽자 원상(院相)으로서 국정(國政)을 맡아보았다. 문장(文章)과 서화(書畫)에 뛰어났고 선조조(宣祖朝)의 문장8대가(文章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일컫는다. 주1. 이산해(李山海): 자(字)는 여수(汝受). 호(號)는 아계(鵝溪). 명종(明宗) 때에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응교(應敎)를 비롯하여 이조좌랑(吏曹左郞)을 거쳐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오르고 이조판서(吏曹判書),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뒤 우의정(右議政)이 되었다. 그후 북인(北人)의 영수(領首)로서 좌의정(左議政)이 되어 이어 영의정(領議政)이 되었으나 탄핵을 받고 사임했다. 선조(宣祖)가 죽자 원상(院相)으로서 국정(國政)을 맡아보았다. 문장(文章)과 서화(書畫)에 뛰어났고 선조조(宣祖朝)의 문장8대가(文章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일컫는다.
 +</WRAP>
 </typo> </typo>
 </WRAP> </WRAP>
b-125.174903757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4 20:46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