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015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c3-015 [2025/05/13 10:33] – ssio2 | c3-015 [2025/05/13 10:37] (현재) – ssio2 | ||
---|---|---|---|
줄 3: | 줄 3: | ||
<typo ff:' | <typo ff:' | ||
\_**庚戌譜序**\\ | \_**庚戌譜序**\\ | ||
- | \_우리 성(姓)이 평해(平海)를 본관(本貫)으로 정(定)한 역사(歷史)는 오랜 옛날이며 보판(譜板)을 | + | \_우리 성(姓)이 평해(平海)를 본관(本貫)으로 정(定)한 역사(歷史)는 오랜 옛날이며, 보판(譜板)을 |
풍기(豊基) 금양(錦陽)에 두게된 것도 백수십(百數十年)의 세월(歲月)이 흘렀다. | 풍기(豊基) 금양(錦陽)에 두게된 것도 백수십(百數十年)의 세월(歲月)이 흘렀다. | ||
세대(世代)가 멀어지고 계첩(系牒)이 전(傳)함이 없으면 파(派)가 나뉘고 그 나뉜 | 세대(世代)가 멀어지고 계첩(系牒)이 전(傳)함이 없으면 파(派)가 나뉘고 그 나뉜 | ||
줄 11: | 줄 11: | ||
\_지난 신묘년(辛卯年)에 춘천(春川) 종씨(宗氏)인 승지(承旨) 도(燾)씨가 신보청(新譜廳)을 경성(京城)의 화장사(華藏寺)에 | \_지난 신묘년(辛卯年)에 춘천(春川) 종씨(宗氏)인 승지(承旨) 도(燾)씨가 신보청(新譜廳)을 경성(京城)의 화장사(華藏寺)에 | ||
- | 설치(設置)하고 구보(舊譜) 제종(諸宗)에게 입보(入譜)를 권유하였으나 평해(平海) 풍기(豊基) 양파(兩派)의 | + | 설치(設置)하고 구보(舊譜) 제종(諸宗)에게 입보(入譜)를 권유하였으나, 평해(平海) 풍기(豊基) 양파(兩派)의 |
불참(不參)으로 많은 입보(入譜)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 불참(不參)으로 많은 입보(入譜)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 ||
오호(嗚呼)라! 그날에 지손(支孫)된 우리로서 어찌 다시 오늘과 같음이 있을 줄 | 오호(嗚呼)라! 그날에 지손(支孫)된 우리로서 어찌 다시 오늘과 같음이 있을 줄 | ||
- | 알았으리요? | + | 알았으리요? |
보이므로 다시 회의(會議)없이도 합의(合意)된 것으로 묵인(默認), | 보이므로 다시 회의(會議)없이도 합의(合意)된 것으로 묵인(默認), | ||
설치(設置)한 것은 전일(前日)의 예(例)를 따른 것이다.\\ | 설치(設置)한 것은 전일(前日)의 예(例)를 따른 것이다.\\ | ||
\_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의 왕성(旺盛)할 즈음에 그 아름다운 자취는 이미 옛날 조선(祖先)들의 | \_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의 왕성(旺盛)할 즈음에 그 아름다운 자취는 이미 옛날 조선(祖先)들의 | ||
- | 저술(著述)에 갖추어 있음으로 다시 지붕 위에 마루를 | + | 저술(著述)에 갖추어 있음으로, 다시 지붕 위에 마루를 |
- | 거듭할 필요(必要)가 없으나 학사공(學士公)의 부해록(桴海錄)이 동한시사(東漢時事)나 평해(平海)로 본관(本貫)을 삼고 | + | 거듭할 필요(必要)가 없으나 학사공(學士公)의 부해록(桴海錄)이 동한시사(東漢時事)(=동한 때의 일)나 평해(平海)로 본관(本貫)을 삼고 |
성(姓)을 황씨(黃氏)로 하여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다. 근자(近者)에 | 성(姓)을 황씨(黃氏)로 하여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다. 근자(近者)에 | ||
와서 정선(旌善) 종인(宗人)의 대중(大中) 가적첩(家籍牒) 가운데 당(唐) 학사(學士) 및 8세(八世) 배위(配位)와 묘소(墓所) | 와서 정선(旌善) 종인(宗人)의 대중(大中) 가적첩(家籍牒) 가운데 당(唐) 학사(學士) 및 8세(八世) 배위(配位)와 묘소(墓所) | ||
뿐 아니라 기타(其他) 소상(昭詳)하게 나타난 바 있음으로 이제 이에 의(依)하여 이를 | 뿐 아니라 기타(其他) 소상(昭詳)하게 나타난 바 있음으로 이제 이에 의(依)하여 이를 | ||
- | 바로 고친 것이니 이는 곧 선세(先世)가 발견(發見)치 못한 일을 새로 발견(發見)한 것이다. | + | 바로 고친 것이니, 이는 곧 선세(先世)가 발견(發見)치 못한 일을 새로 발견(發見)한 것이다. |
그러나 이 처사(處事)가 경솔(輕率)하다는 책임(責任)을 면(免)치 | 그러나 이 처사(處事)가 경솔(輕率)하다는 책임(責任)을 면(免)치 | ||
못할 것 같은 느낌이 없는 바는 아니다. 이미 믿을 수 있는 문적(文籍)이 | 못할 것 같은 느낌이 없는 바는 아니다. 이미 믿을 수 있는 문적(文籍)이 | ||
- | 있음으로 어찌 가히 | + | 있음으로 어찌 가히 |
기록(記錄)하여 후세(後世)에 변증(辨證)의 깨트린 자취를 삼고자 함이다. 알지 못한 일이나 | 기록(記錄)하여 후세(後世)에 변증(辨證)의 깨트린 자취를 삼고자 함이다. 알지 못한 일이나 | ||
후세(後世) 자손(子孫)은 혹 이에 의뢰(依賴)하여 수천년(數千年) 후(後)에라도 더욱 자세하게 될 것인가? | 후세(後世) 자손(子孫)은 혹 이에 의뢰(依賴)하여 수천년(數千年) 후(後)에라도 더욱 자세하게 될 것인가? | ||
- | \_이에 보책(譜冊)을 합(合)하여 | + | \_이에 보책(譜冊)을 합(合)하여 |
모든 간사(幹事)들의 민첩한 공로(功勞)는 이것으로 가(可)히 짐작하리로다. | 모든 간사(幹事)들의 민첩한 공로(功勞)는 이것으로 가(可)히 짐작하리로다. | ||
주간(主幹)한 종인(宗人) 헌주(憲周)는 곧 금계(錦溪) 선생(先生)의 주종(胄宗)으로 호(號)를 농은(農隱)이라하는 | 주간(主幹)한 종인(宗人) 헌주(憲周)는 곧 금계(錦溪) 선생(先生)의 주종(胄宗)으로 호(號)를 농은(農隱)이라하는 | ||
줄 41: | 줄 41: | ||
\_불초(不肯)는 마땅히 몸소 교정(校正)의 역할(役轄)을 도와야 할 처지(處地)임에 불구(不拘)하고 | \_불초(不肯)는 마땅히 몸소 교정(校正)의 역할(役轄)을 도와야 할 처지(處地)임에 불구(不拘)하고 | ||
몸이 늙어 태산준령(泰山峻嶺)을 넘나들 수 없어 소임(所任)을 다하지 못하였다. | 몸이 늙어 태산준령(泰山峻嶺)을 넘나들 수 없어 소임(所任)을 다하지 못하였다. | ||
- | 그러나 그 소감(所感)의 일단(一端)으로 대략(大略)의 전말(顚末)을 펴며 또 거지(居地)가 관향(貫鄕)인 평해(平海)인지라 일언(一言)이 없을 수 없어 무사(蕪辭((蕪辭(무사): | + | 그러나 그 소감(所感)의 일단(一端)으로 대략(大略)의 전말(顚末)을 펴며 또 거지(居地)가 관향(貫鄕)인 평해(平海)인지라 일언(一言)이 없을 수 없어 무사(蕪辭)((蕪辭(무사): |
- | \_\_경술(庚戌)(=1850) 유두월(流頭月)(=6월) | + | \_\_세(歲) 상장(上章) 엄무(閹茂)(경술(庚戌))(=1850) 유두월(流頭月)(=6월) |
</ | </ | ||
</ | </ |
c3-015.174709999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3 10:33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