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8-00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c8-002 [2025/06/05 07:27] ssio2c8-002 [2025/06/05 07:28] (현재) ssio2
줄 9: 줄 9:
 <typo ff:'바탕'; fs:1em; lh:1.5em> <typo ff:'바탕'; fs:1em; lh:1.5em>
 영가(永嘉):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의 옛 이름. “두 이(二)” 아래 “물 수(水)”자로 이루어진 “길 영(永)”이, “아름다울 가(嘉)”와 합해 “두 물이 아름다운 곳”이란 뜻이다. 두 물줄기는 물야탄(勿也灘)과 반변천(半邊川)이다. (자료: 안동물문화관).\\ 영가(永嘉):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의 옛 이름. “두 이(二)” 아래 “물 수(水)”자로 이루어진 “길 영(永)”이, “아름다울 가(嘉)”와 합해 “두 물이 아름다운 곳”이란 뜻이다. 두 물줄기는 물야탄(勿也灘)과 반변천(半邊川)이다. (자료: 안동물문화관).\\
-권상규(權相圭): 1874년(고종 11) 8월 25일∼1961년 7월 23일. 조선 말기 의병. 자는 치삼(致三)이고 호는 채산(蔡山)‧인암(忍庵)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충재(沖齋) 권벌(權橃)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권재화(權載華), 조부는 권진하(權鎭夏)이며, 부친은 의병장 권세연(權世淵)이다. 외조부는 이문직(李文稷)이고, 처부는 박심수(朴尋洙)이다.\\ 면우(勉宇) 곽종석(郭鍾錫), 가산(柯山) 김형모(金瀅模) 등과 교유하였다.\\ 을미사변 때 의병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으며, 1896년(건양 1)에 다시 의병을 일으켜 활동하였다. 경술국치 이후로 세상과 인연을 끊고 동서양의 역사를 탐독하여 당시의 국제 정세를 파악했다.\\ 무덤은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 물야면(物野面) 동막(東幕)에 있다. +권상규(權相圭): 1874년(고종 11) 8월 25일∼1961년 7월 23일. 조선 말기 의병. 자는 치삼(致三)이고 호는 채산(蔡山)‧인암(忍庵)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충재(沖齋) 권벌(權橃)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권재화(權載華), 조부는 권진하(權鎭夏)이며, 부친은 의병장 권세연(權世淵)이다. 외조부는 이문직(李文稷)이고, 처부는 박심수(朴尋洙)이다.\\ 
-  문집으로 『인암집(忍庵集)』 24권 12책이 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면우(勉宇) 곽종석(郭鍾錫), 가산(柯山) 김형모(金瀅模) 등과 교유하였다.\\ 
 +을미사변 때 의병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으며, 1896년(건양 1)에 다시 의병을 일으켜 활동하였다. 경술국치 이후로 세상과 인연을 끊고 동서양의 역사를 탐독하여 당시의 국제 정세를 파악했다.\\ 
 +무덤은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 물야면(物野面) 동막(東幕)에 있다.\\ 
 +문집으로 『인암집(忍庵集)』 24권 12책이 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typo>
 </WRAP> </WRAP>
c8-002.174907606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5 07:27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