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8-023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8-023 [2025/06/06 17:45] ssio2c8-023 [2025/06/06 17:49] (현재) ssio2
줄 3: 줄 3: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typo ff:'한양해서'; fs:1.2em; lh:1.5em>
 \_**聖樵黃頥墓碣銘**\\ \_**聖樵黃頥墓碣銘**\\
-公姓黃諱頤字有中號聖樵平海人在高麗忠烈朝有諱大匡輔國\_諡忠敬歷+公姓黃諱頤字有中號聖樵平海人在高麗忠烈朝有諱𤨭大匡輔國\_諡忠敬歷
 八世諱天祥門下贊成事高祖諱之碩官資憲大夫漢城判尹刑曹判書曾祖諱旱 八世諱天祥門下贊成事高祖諱之碩官資憲大夫漢城判尹刑曹判書曾祖諱旱
 雨通訓大夫軍資監正祖諱岐通政大夫忠勳府都正考諱道漢城判尹妣貞夫人 雨通訓大夫軍資監正祖諱岐通政大夫忠勳府都正考諱道漢城判尹妣貞夫人
줄 9: 줄 9:
 十三通論孟詩書及長明解時務備諳典故而處事寬厚持行廉勤士林以淸白稱 十三通論孟詩書及長明解時務備諳典故而處事寬厚持行廉勤士林以淸白稱
 之至有實蹟之載在郡誌孝友以治家敦睦以處族鄉黨州里間每先人而後已謙 之至有實蹟之載在郡誌孝友以治家敦睦以處族鄉黨州里間每先人而後已謙
-順和無非潛德中出來以篤行除將仕郎庚午考終享年九十三追\_贈嘉善大+順和無非潛德中出來以篤行除將仕郎庚午考終享年九十三追\_贈嘉善大
 夫同知中樞府事葬于郡北梧谷里未坐原配貞夫人月城李氏寶明之女益齋先 夫同知中樞府事葬于郡北梧谷里未坐原配貞夫人月城李氏寶明之女益齋先
 生之后有一男仲壽禮賓主簿主簿生六男長百齡通德郎次千齡三萬齡四億齡 生之后有一男仲壽禮賓主簿主簿生六男長百齡通德郎次千齡三萬齡四億齡
 五德齡通政六福齡孫曾以下多不盡錄嗚呼公以孝友之性廉謹之行視事周祥 五德齡通政六福齡孫曾以下多不盡錄嗚呼公以孝友之性廉謹之行視事周祥
-接人寬厚可以有於世而不幸立賢有方之日雖不能展布所蘊一生事爲每 +接人寬厚可以有於世而不幸立賢有方之日雖不能展布所蘊一生事爲每 
-從忠厚邊做去盖多功效之及人觀其雲仍之蕃世傳孝友間有科慶始驗潛德+從忠厚邊做去盖多功效之及人觀其雲仍之蕃世傳孝友間有科慶始驗潛德
  
 之受報不爽矣舊碼爲風雨所頹今將改竪後孫一河景運甫求記於寅錫謹摭其 之受報不爽矣舊碼爲風雨所頹今將改竪後孫一河景運甫求記於寅錫謹摭其
줄 24: 줄 24:
 \\ \\
 <typo ff:'바탕'; fs:1em; lh:1.5em> <typo ff:'바탕'; fs:1em; lh:1.5em>
-\_**성초 황이 묘갈명(聖樵黃墓碣銘)**\\+\_**성초 황이 묘갈명(聖樵黃墓碣銘)**\\
 \_\_\_\_※제12세조(第十二世祖) 오곡리 배나무골 갈명(碣銘)\\ \_\_\_\_※제12세조(第十二世祖) 오곡리 배나무골 갈명(碣銘)\\
 \_공(公)의 성(姓)은 황(黃)이요 휘(諱)는 이(頤) 자(字)는 유중(有中) 호(號)는 성초(聖樵)라 평해인(平海人)이니 고려(高麗) 충렬왕조(忠烈王朝)에 휘(諱) 용(𤨭)이라는 분이 \_공(公)의 성(姓)은 황(黃)이요 휘(諱)는 이(頤) 자(字)는 유중(有中) 호(號)는 성초(聖樵)라 평해인(平海人)이니 고려(高麗) 충렬왕조(忠烈王朝)에 휘(諱) 용(𤨭)이라는 분이
줄 30: 줄 30:
 품행(品行)이 방정(方正)하고 절도(節度)가 있었다。 성화(成化) 14년(十四年) 무술년(戊戌年)에 오곡리(梧谷里) 저(邸)에서 공(公)을 생(生)하시다。 유시(幼時)로부터 품행(品行)이 방정(方正)하고 절도(節度)가 있었다。 성화(成化) 14년(十四年) 무술년(戊戌年)에 오곡리(梧谷里) 저(邸)에서 공(公)을 생(生)하시다。 유시(幼時)로부터
 공(公)의 자질(資質)이 특이(特異)하여 13세(十三歲)에 논맹시서(論孟詩書)를 통달(通達)하고 장성(長成)함에 시무(時務)를 밝게 알고 고전(古典)을 널리 기억(記憶)하며 처사(處事)에 관후(寬厚)하고 행신(行身)이 염근(廉勤)하야 사림(士林)들이 청백(淸白)하다 칭찬(稱贊)이 자자(籍籍)하였다。 고로 그의 사적(事蹟)이 군지(郡誌)에까지 실려 있으며 부모(父母)에게는 효도(孝道)하고 형제(兄弟)에게는 우애(友愛)하며 집안은 사랑으로 다스렸고 공(公)의 자질(資質)이 특이(特異)하여 13세(十三歲)에 논맹시서(論孟詩書)를 통달(通達)하고 장성(長成)함에 시무(時務)를 밝게 알고 고전(古典)을 널리 기억(記憶)하며 처사(處事)에 관후(寬厚)하고 행신(行身)이 염근(廉勤)하야 사림(士林)들이 청백(淸白)하다 칭찬(稱贊)이 자자(籍籍)하였다。 고로 그의 사적(事蹟)이 군지(郡誌)에까지 실려 있으며 부모(父母)에게는 효도(孝道)하고 형제(兄弟)에게는 우애(友愛)하며 집안은 사랑으로 다스렸고
-족친(族親)에게는 돈목(敦睦)으로 접(接)하여 원근향당(遠近鄕黨) 간에는 매사(每事)에 남을 먼저하고 자기(自己)를 뒤로 하는 겸양화열(謙讓和)의+족친(族親)에게는 돈목(敦睦)으로 접(接)하여 원근향당(遠近鄕黨) 간에는 매사(每事)에 남을 먼저하고 자기(自己)를 뒤로 하는 겸양화열(謙讓和)의
 처사(處事)가 숨은 덕성(德性) 중(中)에서 나타났다 하더라。\\ 처사(處事)가 숨은 덕성(德性) 중(中)에서 나타났다 하더라。\\
  
c8-023.174919952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6 17:45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