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017

기해검교공세보서(己亥檢校公世譜序) (1959년)

 한문 원문 보기

 한문 원문 보기

 己亥檢校公世譜序
惟我黃氏之有派譜在昔壬戌宗伯從兄永來氏之創修一家之史牒也越三十有六年 戊戌重修於錦陽精舍通牒一出遠邇同聲齊會而致力焉客有過而誥之曰子能知 夫族與譜之義乎天下之生久矣有家則有族有族則有譜族者溱也溱其族而聚疏遠 者也譜者普也普其錄而補闕漏者也帝典曰克明峻德以親九族以帝堯之德九族旣 明然後以臻於變之治程子曰明譜系立宗法以管攝天下人心譜系不明則人不知來 處往往親未絶而不相識是豈敎人尊祖收族之道也哉必須聚之精錄之詳則百世而 一統千里而一閑可使因此而不至於忽忘也其義不重且大歟馬遷之自序班固之敍 傳是不過自述其家緖而己以至廬陵之歐眉山之蘇始述家譜以明氏族之有源派昭 穆之有統緖然後庶可無舜禹世系之起疑焉今黃氏之有譜上下四百有餘禩重印續 鋟累矣自祖宗視之則均是子孫至於子之身親者分而遠之聚者散而柝之其義何據 願聞其詳余曰然雖欲無言惡可已也吾黃之著於東國遠矣自顓頊之世受姓於黃綿 歷數千載布滿天下者皆鼻祖於陸終而至唐學士東舟以後甲乙丙三兄弟分封立貫 於箕城長水昌原然世代荒朴杞宋莫證而箕城之黃最遠且久自金吾公至評理大匡 三昆弟又分爲三派名公鉅卿輝暎靑史然累經兵燹文獻蕩佚不知同祖者爲誰相視 若秦越可勝歎哉吾先祖錦溪先生博攷諸家逸乘始衰輯草譜繼而有海月先生所修 之譜然後始知萬水之自一源萬支之自一本統緖賴以復明昭穆賴以有序今吾氏之 布在八域其麗不億而況寰海震盪南北分裂離柝者無返本之望派遠者無溯源之志 且平海淸安兩派諸宗憚功役之浩汗各尊其祖各修其派而止焉則譜事之未能大同 推此可想迨此暇時若不汲汲修合則渺玆稚孩亦安知千載上祖先爲誰也爲是之 懼與族叔正鎭泰鎭合議收單斷自檢校公以下釐爲一家之私牒非所有意於分而柝 之也若以吾言爲不誣請看錦水山上一片浮雲無心而合無心而散人事之合散無定 正如是也吾何與於其間客唯唯而退僉宗以之無狀與有聞於斯役乃不揆僣越忘 加檃括整其世代之叅差晰其源派之錯亂以至紸脚之附演官啣之杜撰悉遵舊規訂 其訛補其闕絶者系之附者陞之大小畢擧亦一家之大同也噫粵在晟時先父老之賢 孝誠墾閱三歲而尙歎其難况今運啓百六能成之於一歲之中是誰之賜此特由於祖 先積累之功啓遺我後昆而泰鎭之克承勤幹而有以致之也詩曰律修厥德無忝爾祖 凡我僉宗遹追乎祖先之深仁厚澤克勉乎來謨之孝友敦睦則異日門運之繁衍昌大 庶可權輿於此矣始譜與顚末具在舊譜序文土憲何庸架疊哉
  朝鮮開國五百六十八己亥後裔孫通仕郞權知承文院副正字謹序


 기해검교공세보서
 우리 황씨(黃氏)의 파보(派譜)는 일찍이 임술년(壬戌年)(1922(一九二二))에 종백(宗伯) 종형(從兄) 영래(永來)씨(氏)가 일가(一家)의 사첩(史牒)을 수정하여 편찬한 것이다.
 36(三十六)년 뒤 무술년(戊戌年)(1958(一九五八))에 금양정사(錦陽精舍)에서 다시 편찬하였는데 통첩(通牒)이 등장하자 멀든 가깝든 한 목소리를 내었고 함께 모여 힘을 다하였다.
 객(客)이 나를 방문하여 물었다.
 『그대는 「족(族)」과 「보(譜)」의 뜻에 대해 알고 있는지요? 천하가 형성된 것이 오래 되었는데, 집이 생기니 종족이 생기고, 종족이 생기니 족보가 생겨났습니다.
 「족(族)」은 「진(溱)(모으다)」이니, 그 종족을 모아 소원한 이들을 불러들이는 것입니다. 「보(譜)」는 「보(普)(두루 미치다)」이니, 그 기록을 두루 미치게 하여 빠져있는 것을 채우는 것입니다.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이르기를 「큰 덕을 두루 밝히어, 9족(九族)을 친하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요(堯)임금의 덕으로 9족(九族)이 밝혀진 연후에 휼륭한 정치를 하였습니다. 정자(程子)가 말하기를 「족보(族譜)의 계열(系列)을 밝히고 종법(宗法)을 세워 천하의 인심을 통괄한다. 족보의 계열이 뚜렷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내력을 알지 못하여 왕왕 친분이 끊기지 않았는데도 알아보지 못한다. 이 어찌 다른 사람들에게 조상을 숭배하고 친족을 거두는 도리라고 가르치겠는가! 모름지기 빠짐없이 모으고 자세히 기록한다면 백대(百代)라도 한 갈래이며 천리라도 한 마을이니, 이를 명심하여 소홀히 하거나 잊어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 뜻은 참으로 중차대한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였습니다. 사마천(司馬遷)의 자서(自序), 반고(班固)의 서전(敍傳)은 그 가업(家業)을 스스로 기술한 것에 불과할 따름이었고, 노릉(廬陵)의 구양수(歐陽修), 미산(眉山)의 소식(蘇軾)도 본시 집안의 계보(系譜)를 기술하여 종족의 내력과 항렬의 계통을 밝힌 연후에 가히 요순(堯舜)의 혈통(血統)이라는 점에 의심 없기를 바랬습니다.
 지금 황씨(黃氏)의 족보(族譜)는 위아래로 4백(四百)여 대(代)에 걸쳐 재차 인쇄하고 연이어 새긴 것이 여러 번입니다.시조(始祖)의 입장에서 보자면 모두 자손이건만, 당신의 대에 이르러 친한 사람들이 나뉘고 멀어졌으며 모인 사람들이 흩어지고 갈라졌으니, 족보(族譜)의 참뜻은 어디에서 찾겠습니까? 자세히 듣고 싶습니다.』
 나는 말했다.
 『그러지요. 비록 말하고 싶지 않지만 어찌 그만둘 수 있겠습니까?
 우리 황씨(黃氏)가 우리나라에 등장한 것은 오래 되었습니다. 전욱(顓頊) 시대부터 황씨(黃氏) 성을 받아 수천년을 거치며 천하를 가득 채운 사람들이 다 조상이었고 중국에서 생을 마감하였지만, 당(唐) 학사(學士)(황낙(黃洛))께서 동쪽으로 배 타고 이주해 오신 이후로 갑(甲), 을(乙), 병(丙) 3(三)형제가 분봉(分封)을 받아 기성(箕城)(평해(平海)), 장수(長水), 창원(昌原)에 본관(本貫)을 세웠으니, 세대가 요원하여 사실을 밝힐 자료는 없지만 기성(箕城)의 황씨(黃氏)가 가장 멀고 오래되었습니다.
금오공(金吾公)(검교공(檢校公)) 이래로 평리공(評理公), 대광공(大匡公) 등 3(三)형제가 또 나뉘어 3파(三派)를 이루었는데, 이름난 대부와 뛰어난 재상이 청사(靑史)에 빛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차례 전쟁을 거치면서 문헌이 일실되어 같은 조상을 둔 사람들이 누가 누군지를 몰라 마치 서로 진(秦)나라와 월(越)나라 사람들처럼 대하니 탄식을 금할 수 없군요.
 우리 선조 금계선생(錦溪先生)께서 깊이 생각하시고 여러 사람들이 기꺼이 협조하여 비로소 초보(草譜)가 편찬되었고 연이어 해월선생(海月先生)께서 편찬한 족보가 등장한 후에야 비로소 만갈래의 물이 하나의 근원에서 시작되고 만갈래의 가지가 하나의 뿌리에서 나왔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계통이 다시 밝혀지고 내력(來歷)도 순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지금 우리 황씨가 전국에 흩어져 있어서 그 수를 헤아릴 수 없는데, 더욱이 온나라가 진동하고 남북이 분열되어 있으며, 헤어져 갈라진 사람들은 근본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없고 파(派)가 먼 사람들은 근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뜻이 없습니다.
 또한 평해(平海), 청안(淸安) 두 파의 종친들이 작업의 방대함을 꺼리고, 각자 그 조상을 숭배하고 각자 자신의 파(派)를 정비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면 나아가 하나의 완결된 족보를 만들 수 없음은 족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처럼 시간이 있을 때 만약 서둘러 정비하고 수합(收合)하지 않는다면 더욱 모호해질 것이며, 또한 어린 아이들이 어찌 천년전의 조상이 누구인지 알겠습니까?
 나는 이를 두려워하여 족숙(族叔) 정진(正鎭), 태진(泰鎭)과 개별적인 자료들을 모아서 검교공(檢校公) 이후로 일가(一家)의 사첩(私牒)을 만들기로 상의한 것이지, 결코 나누고 가르는데 뜻을 둔 것은 아닙니다. 만약 제 말을 의심하지 않는다면 금수산(錦水山) 위를 한번 봐주십시오.
 한 조각 떠가는 구름은 무심히 모였다가 무심히 홀어지는데, 사람이 모이고 흩어지는 것도 일정치 않으니 바로 그와 같은 것입니다. 제가 어찌 그 사이에 간여하겠습니다까?』
 객은 그저 「예예」하며 대답하고는 물러났다.
 모든 종친들이 내가 대책없이 이 일에 착수한 것을 듣고서도 분수에 어긋난다고 여기거나 나무라지 않고, 도리어 세대가 뒤섞인 것을 바로 잡아주고 내력이 잘못된 것을 밝혀주었다.
 주해가 붙어있거나 관직이 틀린 것은 모두 옛 제도를 따랐으며, 잘못된 것은 교정하고 누락된 것은 채웠으며, 끊어진 것은 잇고 붙어있는 것은 올려, 크고 작은 것을 모두 다 거론하였으니 또한 일가가 하나로 통일된 것이다.
 아! 성대(聖代)에 사셨던 부로(父老)의 어질고 효성스러우며 정성스럽고 간절함이 3(三)대를 살면서 살펴보아도 그 비길 데 없음을 오히려 감탄하였다.
 지금 운수가 액운을 밀어내고 있어, 1(一)년 사이에 족보를 완성했으니 이는 누구의 하사품인가? 이는 다만 조상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쌓여있는 음덕이 우리 후손들에게 드리워진 것이다.
 또한 태진(泰鎭)이 바쁜 일을 제켜두고 뜻을 받들어 부지런히 도와주었기에 이에 이룰 수 있었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스스로 그 덕을 닦아, 조상들을 욕되게 하지 않으리』라고 하였다.
 무릇 우리 모든 종친이 선조의 깊은 인자(仁慈)와 두터운 은혜를 본받고 존중하며, 전하신 가르침에 충실하여 효성스럽고 우애가 돈독하며 화목함에 힘쓴다면 머지않아 가문의 운수가 번창할 것이니, 가히 이를 확신해도 좋으리라.
 시보(始譜)와 전말(顚末)은 옛 족보의 서문에 수록되어 있으니, 내가 굳이 다시 쓸 필요는 없을 것이다.
  조선 개국 568(五六八)년 기해년(1959(一九五九)) 후예손 통사랑권지 권지(權知)1) 승문원부정자2) 헌이 삼가 쓴다.

1)
권지(權知): 벼슬 이름 앞에 붙어 그것이 임시직(臨時職)임을 나타내는 말
2)
부정자(副正字): 조선시대 교서관(校書館)과 승문원(承文院)에 두었던 종구품(從九品) 관직
a-017.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28 07:23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