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술대동보발(甲戌大同譜跋) (1934년)
갑술대동보발
본관(本貫)을 같이하는 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가 최초(最初)에 세보(世譜)를 닦을 때 그 계획(計劃)함이 굳고 후사를
염려함이 깊었던 고로 이 일이 마침내 성사(成事)을 하였으나 진실로 이는 우리 종인(宗人)들의
친목(親睦)과 단결심(團結心)이 아니었으면 그 어찌 능(能)히 이룩하였으리요. 가만히 생각(生覺)건대 우리
성씨(姓氏)가 학사공(學士公)이 동해(東海)로 건너오신 이래(以來)로 자손(子孫)이 팔도(八道)에 퍼져 살게되어 그 수(數)가
무려 수십만명(數十萬名)이 되고 연대(年代)가 오래되어 세계(世系)를 고증(考證)할 수 없었더니 다행이
금계(錦溪) 해월(海月) 두 분 선생(先生)이 인멸되고 흩어진 유적(遺蹟)과 문헌(文獻)을 집수하여 소씨(蘇氏)의 고사(古事)를
본떠서 우리 평해황씨(平海黃氏)의 초보(草譜)를 처음 만들어 우리 후생(後生)에게 전해준 것은 진실로
우리 종족(宗族)의 무한(無限)한 아름다운 일이며 또 이 뜻을 계승하여 풍기(豊基)와 청안(淸安)에 덕망(德望)있는 장로(長老)들이 여광(餘光)1)을 발휘(發揮)하여 수보(修譜)하였음은 후손(後孫)에게 큰 은택(恩澤)을 입힌 일이라
하지 아니할 수 없다.
이것이 전후(前後) 3백년간(三百年間)에 대동보(大同譜)를 3차(三次) 파보(派譜)를 4차(四次)나 격었다.
그러나 그 후(後) 자손(子孫)들은
번연(繁衍)하고 세사(世事)는 다단(多端)하여 나라를 등지고 고향(故鄕)을 떠나는 자 점점(漸漸) 많아서 한 곳에
살지 못하고 산지사방(散之四方)으로 흩어지니 오래도록 수보(修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따라서
세계(世系)를 닦을 수 없는 후진(后進)이 점점(漸漸) 많아지므로 선부로(先父老)의 적공(積功)과 남긴 유업(遺業)이 차차(次次)
흩어져 감에 평해(平海)의 여러 족인(族人)들이 이것을 걱정한 나머지 난상토의하여 종의(宗議)로
정(定)하고 풍기(豊基)와 청안(淸安)에 전인(傳人)하고 영남(嶺南)과 관서(關西)에 통문(通文)을 발송(發送)하니 바람이 일고
소문(所聞)이 퍼져서 이르는 곳마다 만수(萬水)가 동해(東海)로 흐르듯 제종(諸宗)이 호응(呼應)함으로 임신년(壬申年)
가을에 보사(譜事)를 시작(始作)하여 불과(不過) 2년(二年)에 보책(譜冊)을 간행(刊行)케 되었다.
그 입보(入譜)한 인원(人員)은 8천여명(八千餘名)이요 소요(所要)된 경비(經費)는 모두 5천원(五千圓)이 넘었다.
이 모두가
우리 종족(宗族)의 위선(爲先)하는 정신(精神)이 마음 속에 깊이 새겨져 있어 경제(經濟)의 어려움을 꺼리지
않고 의연금(義捐金)을 판출(辦出)한 때문이라 하겠다.
아! 보사(譜事)의 의의(意義)를 어찌 쉽게 표현(表現)할 수 있으리오마는 위로 조선(祖先)의 계통(系統)이 밝게
나타나 있고 아래로 자손(子孫)의 파계(派系)가 정렬(整列)되어 있으니 비록 평안무사(平安無事)할 시대(時代)라도
마땅히 각가(各家)에 귀중(貴重)히 보관(保管)되어야 할 바이어늘 황차(況且) 세상(世上) 변천(變遷)이 심한 오늘에
있어서야 우리 종족(宗族)의 관념(觀念)이 이번 보사(譜事)를 통(通)하여 더욱 깊은 바이었으리라 생각(生覺)한다.
돌이켜 보건데 나같이 무능(無能)한 사람이 외람하게도 재정(財政)에 관(關)한 일에 참섭하여
다만 일심(一心)으로 절약(節約)하며 오직 막중대사(莫重大事)인 보사(譜事)의 유종(有終)의 미(美)를 거두지 못할까
두려워 할 뿐이러니 오늘에 완성(完成)을 보게 되었음으로 기쁜 나머지 참람하고 분에
넘치는 것도 헤아리지 않고 간략(簡略)히 전말(顚末)을 서술하여 편말(篇末)에 붙이노라.
갑술(甲戌) 4월(四月) 일(日) 후예손(後裔孫) 시원(時源) 근지(謹識)
2. 선인(先人)이 남겨 놓은 은덕(恩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