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예빈시정황옥산묘갈명(禮賓寺正黃玉山墓碣銘)
禮賓寺正黃玉山墓碣銘 新羅文武王時黃學士諱洛自中朝東桴居平海之月松子孫仍貫焉中世有 諱瑞金紫光祿以翊戴勳陞縣爲郡 賜諡文節四傳至中郞將諱有甫生諱 厚禮賓判官配牙山蔣氏有三子長曰玉崇漢城判官季曰玉崗習讀公其仲 也諱玉山官禮賓寺正燕山即祚之初見時事將非炳幾高蹈一棹滄浪歸臥 鄕山而遂没世名不稱配安東權氏允儀之女生二男麟碩龜碩麟碩生四男 漢佐進士漢弼漢佑漢昌一女金弼從此是公世系履歷之大縣也於乎公生 忠節家世去古未遠餘澤尙存有意進取拔茅彙征則必將朝暮巖廊寥寥薄 宦不但止禮賓一命而際時蹇屯歸保名節視軒冕如泥塗嚶嚶然以一區飛 良古人富春者其視甲子諸賢之一網掃盡先見果何如哉如公者可謂知幾 其神不竢終日而百世之下惟可像想來志氣之高尙也却緣後孫零贊散逸 井與家獻而失諸融風適去適來飄然若雪鴻之無跡今雖欲揄揚其萬一人 孰能信之乎栗樹之谷有封而崇尺者即公之壽藏孱孫錦延殆今保守而族 君球英周英璧英璧竭誠力方謀隊碣請余識其陰因瞿然興感作而謂諸君
曰公即我十四代從先祖也後俗漸疎服盡而親盡然視我祖先則俱是同室 一片墓道之尙此未遑者殆四百年之今日而殘陽方復後承漸昌追先報本 觀於此可想則不但爲祖先幸仰亦爲諸君賀也公之子孫亦在外邑而歲一 之奠闕然無聞則居近香火之資裕後敦睦之誼是君與我共事耳敢不樂爲 之辞乎遂刻以陰銘之銘曰遯世潜德炳幾高躅裕後必昌在古何惜栗樹 之陽有封崇尺一片短碣千載信墨 從後孫震英撰 禮賓寺正黃玉山墓碣銘 新羅文武王때에 黃學士諱洛이라 하시는 어른이 中國으로부터 배를 타시고 우 리나라 東海岸平海에 上陸하시어 月松에 살으셨는데 이로 因하여 그 子孫들이 本貫을 平海로 삼았다 그 後中世에 와서 諱瑞라 하시는 어른이 계셔 고려조의 金紫光祿大夫로 國家에 큰 功勳을 세워 翊戴勳으로 文節公의 諡號를 내리셨다 四代를 지나서 中郞將諱有甫라는 어른이 諱厚라는 어른을 낳으시니 禮賓判官이요 配는 牙山蔣氏라는 분이 三兄弟를 두었는데 長子는 玉崇이니 漢城判官이요 季子는 玉崗이니 習讀이요 公은 그 仲子이다 諱는 玉山이요 벼슬은 禮賓寺正이였는데 燕山主가 卽位하면서 처음부터 政界가 混濁해질 것을 豫見하시고 그 밝게 보시는
天下幾微를 깊이 감추시고 한번 滄浪을 넘어 고향에 돌아와 다시 때를 타지 목하고 드디어 世上을 마쳤음으로 이름이 世上에 빛나지 않았다. 配는 安東權氏니 允 儀의 女이시다 兄弟를 낳으셨는데 長子는 麟碩이요 다음은 龜碩이라 麟碩이 四 兄弟를 두니 長男漢佐는 進士이요 다음은 漢弼漢佑漢昌이라 一女는 金弼從에 適하였다 이것이 公의 世系이며 履歷이다. 슬프다 公이 文節家에 나시어 그 世代가 멀지 않으므로 아직 餘澤이 있어 禮 賓一命에 끝이지 않고 또 力量이 過人함으로 時事가 올받았더면 크게 進就함이 있었을 것이였는데 때를 만나지 목하여 不得己 이름을 保全하고 節介를 지키자니 功名을 弊履와 같이 버리고 한개 區區한 飛良으로 富春山에서 節介를 지키던 嚴子龍의 뜻을 따랐던 것이다. 그러나 그 後甲子士禍로 諸賢이 一網掃盡되는 것을 보고 비로소 世人들이 公의 先見之明을 깨닫고 더욱 公을 尊敬하게 되었다. 後孫이 家貧하여 흩어져 산것과 社會風潮가 追先報本하기에 힘드는 方向으로 흐르는 편이어서 數百年 동안을 墓道를 닦지 못하고 왔었다. 그러나 每年一次式 치루는 先山의 尊掃에는 멀리 사는 後孫들까지 闕함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그들 모두가 祖先을 追慕하는 精神만은 살아 있었다는 것을 짐작하였는데 珷英周英 璧英이 誠力을 다하여 墓碣을 세울 것을 合議하고 나에게 陰刻의 識文을 請하거늘 나는 그들의 가상한 뜻에 크게 感動하여 公인즉 나에게는 十四代從先祖이신지라
나도 應當 이일에 協力하여야 할 것인데 어찌 즐겁다 않다하고 사양하겠는가? 이러한 일은 子孫들로 하여금 先塋에 香火의 資禀을 가까이 쌓도록 하며 敦睦의 族誼를 後孫들에게 물려주는 일이 되며 諸君과 諸君의 子孫들이 福 받을일인 즉 내 어찌 致賀하지 않겠으며 또 不足한 文筆을 면치못하나 誠意를 다하지 않겠는가 드디어 이 돌에 새기노니 (遯世潛德) 돈세잠덕은(炳幾高躅) 병기고촉이라(裕 後必昌) 유후필창에 (在古何石) 재고하석이라(栗樹之陽)을수지양에(有封崇尺) 유봉승척이라(一片短碣) 일편단갈이(千載信墨) 천재신묵이라 從後孫震英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