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122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평해군묘표비문(平海君廟表碑文)

<WRAP 33em justify>

 한문 원문 보기

 한문 원문 보기

 平海君廟表碑文
太祖朝官至推忠協賛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崇祿大夫賛成事封平海君 贈 右議政諡襄武姓黃諱希碩以開國元勳特命旌賞不遷之廟位本在漢城府梨 峴壬癸倭酋之亂六世孫瑁與長侄潤身移安于清安縣院坪西坐之基英祖五 年己酉春裔孫鍾與諸孫重修本宇檀紀四二七〇年丁丑春裔孫啟欽聖源與諸 宗重修本宇檀紀四二八五年壬辰春裔孫義模與清安諸宗改修門垣墻自宣 廟以後四百年之久矣其間三四次重修而正殿不過三間規模狹窄棟宇傾頹爲 子孫者以是大懼 歲壬子春裔孫麟模與胃孫元九諸宗協賛重建本宇廟道始 完國朝以來褒賢獎忠之道於是乎無憾爲子孫者奉先之心於是乎永世不替
後裔孫賢模謹撰
  檀紀四三一一年戊午月 日立


<typo fs:0.8em>  평해군 묘표 비문
 조선 태조(太祖) 조에 벼슬이 추충협찬 순충분의 좌명 개국공신으로 숭록대부 찬성사 봉 평해군 증 우의정 시호 양무로서 성은 황(黃)이오 휘는 희석(希碩)인데 개국의 원훈임에 특별한 명으로 정상하되 불천지묘위라. 본시는 서울의 이현에 있아 옵더니 임진계사의 왜란으로 소실되니, 6세손 창(琩)이 장질 윤신(潤身)과 더불어 나라의 명을 받들어 청안의 원평으로 이안, 유좌(酉坐)의 자리에 뫼셔 왔더니, 영조(英祖) 5년(1729) 기유(己酉) 봄에 예손 종(鍾)과 더불어 제종이 중수하였고, 또 그후 단기 4270년(1937) 정축(丁丑) 봄에 예손 계흠(啓欽)과 성원(聖源)으로 더불어 제종이 중수하였고, 또 그후 단기四二八五年(一九五二)壬辰봄에 예손義模와 더불어 청안의 제종 이 문간과 원장을 수리하였으나 宣祖이후 四百여년의 오랜동안 三四차례를 중수보건이 있었으나 하오나 정전이 불과 三 간으로 규모도 협착할뿐더러 기둥이 기울고 재목이 퇴락하니 자손된이는 누구든 어찌 송구하고 죄스럽지 아니하리오 壬 子年(一九七二)에 예손麟模와 더불어 주손元九며 제종이 협찬일대 중건이 본우하니 비로서 묘당의 의도를 처음갖추었다 하겠음이라 이러함은 우리 동방의 국조이래로 어진 현신과 공훈의 충신께 포장하는 道義의 정상이니라 이제 자손이된이 는 유한이 없으리니 조상을 받듬에 치성을 다할지어다.영원한 세세를 끊임이 없으리。 후예손 賢模 근찬

c-122.174618075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02 19:12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