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의정공묘갈사(議政公墓碣寫)
議政公墓碣寫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
行高麗國政憲大夫密直副使判圖判書黃諱天祿之墓
지난 계사년(癸巳年)에 내가 관북(關北)의 안찰사(按察使)로
지방(地方) 순찰을 할 때 영흥(永興) 땅에서
황종률(黃鍾律) 황희준(黃熹俊)의 어진 이름을 듣고 예(禮)로써 맞이하니 그
용의(容儀)가 유아(儒雅)하고 언행(言行)이 충서(忠恕)함을 보고 벌써 영지(靈芝)와
예천(醴泉)의 근원(根源)이 유래(有來)가 있음을 알겠더라. 도내(道內)의
고적을 고찰(考察)하다가 고원군(高原郡)에 황정승(黃政丞)의 묘(墓)가
있으되 실전(失傳)한지 이미 오래됨을 들었다. 황정승(黃政丞)은 고려(高麗)의
어진 재상(宰相)으로 희준(熹俊) 종률(鍾律)의 선조(先祖)가 되는지라.
내가 크게 감탄(感歎)한 바 있었더니 세월(歲月)이 오랜 후에
희준(熹俊) 종률(鍾律) 두 사람이 지석(誌石)을 얻고 그 분영(墳塋)을
찾은 뒤에 비석(碑石)을 세우고자 나에게 묘갈명(墓碣銘)을
청(請)하는지라. 지문(誌文)을 살펴보니 그 내용(內容)이
심히 희기(稀奇)한지라. 나의 학문(學文)이 부족(不足)하다 하여
사피(辭避)할 수 없는 고로 이에 이를 서술(敍述)하노라.
공(公)의 휘(諱)는 천록(天祿)이니 평해인(平海人)이라.
황씨(黃氏)는 신라(新羅) 시대(時代)의 학사(學士) 휘(諱) 낙(洛)이라는
분을 처음 시조(始祖)로 삼으며 고려조(高麗朝)에 이르러 휘(諱) 온인(溫仁)이
관(官) 검교(檢校)에 있었고, 그 후(後) 대대(代代)로 더욱
벼슬이 혁혁(赫赫)하여 3대(三代)를 전(傳)해 왔는데
휘(諱) 용(墉)이라는 분이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이요
시(諡)는 충경공(忠敬公)이며 그 다음 대(代)가 휘(諱) 태백(太白)이니
형조전서(刑曹典書)요 아조(我朝)에 와서 우의정(右議政)을
증직(贈職)하였고 또 그 다음 대(代)가 휘(諱) 우(祐) 병조전서(兵曹典書)니
아조(我朝)에서 증(贈) 좌의정(左議政)을 제수(除授)하였다.
즉 이분들이 공(公)의 증조(曾祖) 조(祖) 및 부(父)라.
公이麗末에벼슬하여政憲大夫密直副使版圖判書에이르고長子希碩은我太朝를도와開國勳에策錄함으로써公에게
領議政이追贈되었다配偶는光山金氏習讀郭의女息이라墓所가高原郡郡內面新興里葛古介壬坐之原이요中間에失
護되었다가今夏에비로소다시封築을하였으니슬프다公의內外는歷歇즉淸宦으로오래도록國家에奉仕하며嘉猷偉
積좋은政策과큰功勳을세웠음이足히時俗을바르게하고後代에빛나야할것이어늘世紀가너무멀고史記와文籍이闕
失한것이많고三尺墳塋이누차兵亂과火災에피해를當하니가시덤불속에入沒된지많은星霜을지났도다진실로靈魂
이不昧하고後裔의盡心竭誠이아니었으면어찌다시금 그믐밤같이캄캄하던것이나타날수있었으랴?
長男希碩은開國功臣封平海君贈右議政諡襄武요孫象은兵曹判書贈領議政이요孫麟은禮曹判書孫鸞은兵曹正郞兼
八道都摠制孫鵠은東萊府使라其餘次孫이繁衍하여不盡錄하노라銘曰
平海古家世有哲人(평해고가세유철인) 平海가문에代代로哲人이나니
休休版圖展地蓋官(휴휴판도전지개관) 판도판서가끊이지않고
有嗣俊英佐聖樹功(유사준영좌성수공) 훌륭한子孫들이임금을도와功을세우니
聖曰贈秩嘉乃若翁(성왈증질가내약옹) 임금이그父祖들에까지贈爵하더라
葛阡佳城改築隆然(갈천가성개축융연) 취덤불속에묻힌先瑩을찾아봉축하니
如月善恒臨復(여될심항수회원)
謨裕貽後誠竭孝先(모유이후성갈효선)
是祖是孫于顯其光(시조시손우현기광)
昔我按北撫古嗟傷(석아안북무고차상)
後州餘사勤斯銘章(후주여사근사명장) 그로부터三十餘年이지만이제야갈명을새기네
율율雲山央央江水(율율운산앙앙강수) 높고높은산같이도도한강물처럼子孫이번성하니
지난날내가關北의按擦使일때이고적을어루만지며嗟歎했는데
龜負片石孰不仰止(구부편석숙불앙지) 거북등에우뚝선묘갈을모두우러러보게하네
政憲大夫前議政府贊政兼掌禮院卿原任奎章閣提學燔南朴箕陽謹撰
</W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