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32-028

화전공(花田公) 묘갈명(墓碣銘)

화전공(花田公) 묘갈명(墓碣銘)
 공의 휘는 육구(郁九)요, 자는 순삼(順三)이며, 호는 화전(花田)이요, 관은 종사랑(從仕郞)이며, 성은 황(黃)씨이다. 시조 학사(學士)공의 휘는 낙(洛)이니 중국 강하인(江夏人)으로 배를 타고 동국에 오시어 평해(平海)에 자리 잡으시니 자손들이 이에 관(貫)으로 삼았다.
 고려조에 휘 온인(溫仁)은 관이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에 이르렀고, 4(四)세 휘 용(𤨭)은 관이 숭록대부(崇祿大夫)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휘 태백(太白)을 생(生)하니 증 우의정이요, 태백이 휘 우(祐)를 생하니 증 좌의정이다. 우가 휘 천계(天繼)를 생하니 호는 잠재(潛齋)며, 경기 전라 경상 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를 지내고, 태조를 도와 창업공신이 되었으나, 포천(抱川)에서 관직을 버리고 남으로 예안과 안동 풍산으로 옮겨 와 사셨으니 그 후로는 관직이 끊어지지 않았다.
 15(十五)세 휘 한성(漢成)의 호는 취적헌(取適軒)이니, 타고난 자질이 돈후(敦厚)하였으며, 자품(姿品)이 강직하고 온화하였다. 총명하여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시문(詩文)을 잘하였고 경학(經學)에도 조예가 깊었으나, 산림(山林)에 은거함을 일생의 낙으로 삼으셨다. 백씨공 만휴당(晩休堂) 휘 귀성(貴成)과 함께 난이 평정됨에 고향으로 돌아와 서로 더불어 산수간에 노닐며 기뻐하고 심히 즐거워하였다.
 여러 대를 전하여 휘 구석(九錫)의 호는 학남(鶴南)이며, 관은 가선대부(嘉善大夫) 형조참판(刑曹參判)에 이르렀다. 재주와 학문이 일찍이 성취되어 덕과 도량(度量)이 매우 넓었으니, 이분이 공에게 고조가 되신다. 증조의 휘는 태진(泰鎭)이요、호는 낙서(樂西)며 가정의 훈계를 이어 가난한 자를 구휼하고 친척과 화목하게 지내니 친족이 모두 추중하였다. 조의 휘는 오원(五源)이요, 호는 운파(雲坡)며 수(壽)로 통정(通政)이 되셨다. 고(考)의 휘는 종철(宗哲)이니 호는 서산재(西山齋)며 참봉이다. 비는 단인(端人) 안동김씨(安東金氏) 흥록(興祿)의 따님으로 부녀자의 덕행이 있었다.
 공께서 고종 병인(丙寅)(: 1866(一八六六))년 8(八)월 25(二十五)일 목현(木峴)의 집에서 태어나시니 성품이 청명(淸明)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백형(伯兄) 중형(仲兄)과 우애가 돈독하였고, 친족을 한결같이 섬겨 화목하게 지냈으며, 손님 접대를 정성스레 하여 능히 가범(家範)을 이으니 이웃이 추중하였다. 갑신(甲申)(: 1944(一九四四))년 5(五)월 4(四)일에 집에서 돌아가시니 수(壽) 79(七十九)며, 목현 전산(前山) 삼봉(三峰) 묘좌(卯坐)의 둔덕에 장사지냈다.
 배(配) 분성김씨는 타고난 성품이 재주가 있었고 순(順)하였으며 부인의 도가 있었다. 신유(辛酉)(: 1861(一八六一))년에 태어나시어 공보다 15(十五)년 먼저 기사(己巳)(: 1929(一九二九))년 6(六)월 16(十六)일에 돌아가시니 목현 후곡(後谷) 자좌(子坐)에 장사지냈다.
 1(一)남 1(一)녀를 두었으니 남은 병몽(昞夢)이요, 여는 윤병춘(尹炳春)에게 시집갔다. 병몽의 남은 후기(厚起)·학기(鶴起)·성기(成起)며, 여는 예천(醴泉) 임정국(林廷國)·예천 임영조(林永兆)이다. 후기의 남은 영수(榮洙)며, 여는 안동 권기국(權奇國)·강릉 김진한(金鎮漢)이다. 학기의 남은 주수(柱洙)·이수(利洙)이다. 성기의 남은 석법(錫法)·호법(鎬法)·학법(學法)이며, 나머지는 다 기록하지 않는다.
 아! 이제 공이 돌아가신 갑신(甲申)년과는 거의 60(六十)여 년이 되어 가는 어느 날 공의 증손 영수(榮洙)씨와 그 재종숙 응기(應起) 어르신이 나를 찾아와 묘전(墓前)에 세길 글을 책임 치운다. 돌아보건대 보잘 것 없는 재주와 얕은 학식(學識)으로 표덕(表德)의 문(文)을 어찌 감당하겠는가 하며 굳이 사양했으나 청이 더욱 굳고 후손 된 정성 또한 높일 만하여 마침내 감히 사양하지 못하고 이에 그 가장(家狀)을 살펴 사실을 모아 위와 같이 석출하고 이어 명(銘)하노니

평해(平海)의 금 같은 가지요,
학사(學士)공의 옥 같은 후손이로다.
잠재(潛齋)공 선조 계시어,
대대로 유가(儒家)의 업(業)을 지켰도다.
공께서 이 가정에서 태어나시어,
효우(孝友)하고 돈독(敦篤)하고 어질었네.
어질고 선한 행실(行實) 있었기에,
마을과 이웃들이 칭송하도다.
목현(木峴)의 사척(四尺) 봉우리,
공께서 의구(衣屨)를 감추신 곳이라네.
옥돌에 글을 새겨 천년토록 밝게 비추노라.

  기묘(己卯)(: 1999(一九九九)) 중양절(重陽節)
  순천(順天) 후인(后人) 장재호(張在鎬) 삼가 지음.

c32-028.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8 20:08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