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094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b-094 [2025/06/03 16:31] ssio2b-094 [2025/06/07 07:09] (현재) ssio2
줄 19: 줄 19:
 傾槖而救之如遇心人尋訪也鷄忝之供壺觴之備必盡情寬洽性素簡然甞 傾槖而救之如遇心人尋訪也鷄忝之供壺觴之備必盡情寬洽性素簡然甞
 掩人之過不攻人之惡如有乖戾者密諭潜規使之自改化及里卷居第之𠉱 掩人之過不攻人之惡如有乖戾者密諭潜規使之自改化及里卷居第之𠉱
-椽芳屋署以華隱案峠經史庭植花卉爲消苦欝喚幽禽文句如湛甘泉+椽芳屋署以華隱案峠經史庭植花卉爲消苦欝喚幽禽文句如湛甘泉
 之所樂視京華軟塵如空雲流水訓誨子孫主以謙恭是皆法衆乎莊嶽之間 之所樂視京華軟塵如空雲流水訓誨子孫主以謙恭是皆法衆乎莊嶽之間
 而深諦乎尼聖之訓也以大耊陞僉樞榮耀山門鶴髮重望之若地上仙官壬 而深諦乎尼聖之訓也以大耊陞僉樞榮耀山門鶴髮重望之若地上仙官壬
줄 28: 줄 28:
 道金景灝海嗣男㙫得男<fc #ff0000>秋</fc>出<fc #ff0000>垞</fc>女金夏鼎浩男墳增女具聖理𡒨男龍五仁 道金景灝海嗣男㙫得男<fc #ff0000>秋</fc>出<fc #ff0000>垞</fc>女金夏鼎浩男墳增女具聖理𡒨男龍五仁
 五出瑨男尙五餘不錄遂爲之\_銘曰海山淸淑篤生賢碩薰灸月翁唯諾蘇 五出瑨男尙五餘不錄遂爲之\_銘曰海山淸淑篤生賢碩薰灸月翁唯諾蘇
-塾三省之本五敎之目升沈關梁<fc #ff0000>秋</fc>林鶴安之若素山靑水綠爵以樞杖以+塾三省之本五敎之目升沈關梁<fc #ff0000>秋</fc>林鶴安之若素山靑水綠爵以樞杖以
 綠玉優哉游哉外何樂黃山之麓有崇四尺龜伏螭行山川動色君子攸藏過 綠玉優哉游哉外何樂黃山之麓有崇四尺龜伏螭行山川動色君子攸藏過
 者咸式\\ 者咸式\\
줄 159: 줄 159:
 \_\_11(十一)세손 경곤(景坤) 삼가 쓰다\\ \_\_11(十一)세손 경곤(景坤) 삼가 쓰다\\
 \\ \\
 +<WRAP subnote>
 주1. 나은(羅隱): 오월(吳越)의 신성인(新城人). 미래(未來)의 일을 예언(豫言)하여 잘 적중(適中)했다.\\ 주1. 나은(羅隱): 오월(吳越)의 신성인(新城人). 미래(未來)의 일을 예언(豫言)하여 잘 적중(適中)했다.\\
 +
 주2. 감천궁(甘泉宮): 한무제(漢武帝)가 지은 별궁(別宮)\\ 주2. 감천궁(甘泉宮): 한무제(漢武帝)가 지은 별궁(別宮)\\
 +
 주3. 장악(莊嶽): 제(齊)나라의 거리 이름. (孟子) 置之莊獻之門日撻而求其楚\\ 주3. 장악(莊嶽): 제(齊)나라의 거리 이름. (孟子) 置之莊獻之門日撻而求其楚\\
 +
 주4. 일성오신(日省吾身): 조자(曹子)가 일일삼성오신(一日三省吾身)이라 하여 하루에 세번 자신을 반성하라는 훈계 주4. 일성오신(日省吾身): 조자(曹子)가 일일삼성오신(一日三省吾身)이라 하여 하루에 세번 자신을 반성하라는 훈계
 +</WRAP>
 </typo> </typo>
 </WRAP> </WRAP>
b-094.174893591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6/03 16:31 저자 ssi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