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재황종길묘갈략(優遊齋黃鍾吉墓碣略)
우유재 황종길 묘갈략
공의 휘는 종길(鍾吉)이오, 자는 율초(律初)인데, 계출이 평해라.
평해의 황(黃)은 고려 금오장군 휘 온인(溫仁)을 중조로 하여,
그 아래 연 7세를 고관대작으로, 국초에 이르러 병조판서 휘 상(象) 이후
비록 대현은 아니나, 역시 관면은 끊임없이 5, 6세를 지나 그 후미는 왈 정(珽), 왈 진명(震明), 왈 철(澈), 왈 상정(尙正)은 공의 고조 증조 또는 조고 및 부이니라. 선비는 삼척 김(金)씨인데 학생 진택(震澤)의 여라.
공이 영조(英祖) 기유(己酉)(1729) 12월 16일에 생하여,
정조(正祖) 경신(庚申) 7월 14일에 졸하니, 수가 72러라.
남양(南陽) 홍익서(洪益瑞)의 여로 취배나, 공보다 16년 전 졸하였으나,
이제 이를 합장하노니 강릉 학산의 신좌(辛坐) 지원이오. 하오나 무남에
유 4녀이온데 모두 선비의 아내니라. 장녀는 홍인성(洪仁性)을 맞이하였고,
차녀는 최응한(崔應漢)을, 3녀는 김영한(金永漢)을, 4녀는 송득심(宋得心)을
맞았노라.
공이 졸하기
전 5년에 내가 삼척부 수로 나가니, 삼척은 동해의 옛 실직군으로
서울이 700리로 해안 변개지하여, 더불어 이 북과는
풍속과 기절이 아울지 아니하고, 세속의 본질이 서로 부딪쳐 문학이
흥성치 않음이라. 내 삼척의 임기를 다할 즈음에 아전에게 물은 바
삼척은 본시 거친 곳이라, 이 어찌 숨은 문학지사가 있으오리까만은
없지는 않지요. 오직 죽서루 아래에 한
황(黃)씨 노인이 있으되, 경학으로써 그 이름이 대관령 동의 노유
모두들 이르기를 어진 선비라 하거늘, 나는 듣자하니 매우
기뻐하여, 즉후 찾아가 뵈오니 과연 듣든 바와 같이 자중하고
경명학이 깊숙하여 실로 군자의 품격일러라. 마침 이때 한
높은 손이 와 이르되 황(黃)노사라 이름이니, 이미 널리 알려진 바오나
내 듣지 못함이라. 그의 학문이 모든 글 중에 가장 이해롭고 쉬움은,
중용에 있는 바를 도해로써 저록하여 중생의 이해에 쉽도록 하기
위함이라. 깍고 추려서 묘리있게 궁구함이나, 그러나 그 글이
세상에 숨어, 아는 이가 없으니 애석하도다. 풍호지간에 삼하가
나지 않으며, 모든 선비는 숲속에서 노닐지 않을진데,
서로히 다듬은 즉 마땅히 숭고일지라. 공이 본시 강릉에 살아 빈궁으로
자립 생존이 매우 어려워 부운같이 떠돌다가 삼척 고을에
붙어살매, 마을의 동자들에게 가르침을 줌으로써 생계를 유지함이나,
그러나 그의 궁핍함은 여전함이라. 객향에 머문지도 어언 30여년에
처음 얻음은 아들 시간(峕簡)이라 아들하야, 가로되 내 이제
아들이 있음이니, 내
이제 늙었거늘 내 고향으로 돌아가 죽음이 옳은지라 하고, 소장했던 살림의
기물이며 재산을 챙기어 강릉으로 돌아가 가옥을 마련 살림을 베풀더이다.
나 역시 그해에 파관하고 돌아왔더니, 그 후 십년인데,
한 자료를 품은 이 보기를 청하거늘,
누구인고 물으니 그의 답에 가로되 나는 황시간(黃峕簡)이로소이다.
부친이 이 세상을 떠난지 이미 8년이오 또한 임종에 유언이로되
유(兪)공이 문장이 유여하니, 내 저술인 바나 기록에 중용도를
보고 들은 바러니 유(兪)공이 이미 허하야서를 하였으니, 나의
묘에 묘갈기인데 사양치 않으리니, 내 죽거든 너는 그이에게
청언하라 하였나이다 하며 시간(峕簡)이 굳이 불망하고 삼가 취하기를
청하여 옴이 간청이어늘, 내 그 헤여진 도획을 상고, 기록을 살핌에
눈물이 절로 흘러 떨어지노라. 이는 시간(峕簡)의 아름다운
성효며 능숙한 노 부친의 저술에 감동하여, 이어 서를 하여
전언을 밟음으로서 기술함을 장차 그 말을 빌려서 오래도록
미려함을 무궁함이니, 내 어찌 그러한 사람이 될 수 있으리오.
어찌 가신 분의 뜻을 읽으리오. 이어 명을 하노니 명(銘) 왈
余在陟州時 내 삼척 고을에 있을 때에,
以詩贈公 그의 시문으로써 공을 더하였더니,
其詩曰 그 시에 왈,
海曲天荒處 구불구불한 해변은 하늘이 내린 거친 곳이나
高人得老師 높은 노사를 얻음이라,
玄言入深奧 검은 말은 깊이깊이 묻어두고
素位在流離 순소한 그 위는 흘러 떠남에 있나니
意欲窮朱子 주자의 궁한 욕심의 뜻이요,
身親見伏羲 복희의 보는 친한 몸이니라
平生觀妙理 평생을 보아도 이치가 기묘하니,
悟處亦文詞 문사가 절절히 깨달음을 줌이라
有欲知公 공의 지식에 욕심이 있음은,
公在此詩 공의 시서와 문장이 존재함이러라
선공감 부정 기계 유한준(兪漢雋) 찬